New
Art
City
Virtual Art Space

Catalog view is the alternative 2D representation of our 3D virtual art space. This page is friendly to assistive technologies and does not include decorative elements used in the 3D gallery.

Space Title

담자균류의 정원 ㅣ Basidiomycota Garden

Within the World Titled [Mycelium Garden] ARKO Art & Tech Festival 2022: The Fable of Net in Earth
Credited to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Opening date August 10th, 2022
View 3D Gallery
Main image for 담자균류의 정원 ㅣ Basidiomycota Garden

Statement:

(원활한 관람을 위해서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정원에 접속해 주세요. 모바일 환경에서는 접속이 어렵습니다.)
(To fully experience the garden, we recommend using the Chrome browser. Mobile phones have limited access.)

참여작가 : 나타샤 톤테이, 돈선필, 모레신 알라야리, 무니페리, 송민정, 업체eobchae, 이영주, 케이켄, 혼프, 황선정

담자균류는 이른바 버섯으로 알려진 생물을 포함하는 대표적 균사체로, 전체 균류의 약 30% 정도를 차지한다. 몸은 다수의 균사로 이루어져 있고, 눈에 보이는 지실체(버섯)를 형성한다. 균사는 가느다란 실과 같은 형태로 대부분의 시간을 낙엽 밑, 땅속에서 생장하여 균사체를 형성하고, 생장의 한계에 다다랐을 때 짧은 시간 동안 버섯을 피운다. 그리고 이 버섯을 통해 포자를 퍼트리고 계속해서 생식을 이어간다.
대부분의 시간을 보이지 않는 땅속에서 생장하는 담자균류의 생장적인 특징을 반영한 제 3 전시관 〈담자균류의 정원〉은 오프라인 전시 참여자의 디지털 작품을 선보이며, 균사체로 이루어진 길을 따라 곳곳에 피어난 다양한 버섯과 함께 배치된 디지털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Artists: eobchae, HONF, Keiken, Mooni Perry, Morehshin Allahyari, Natasha Tontey, Song Min Jung, Sunjeong Hwang, Sunpil Don, Youngjoo Lee

Basidiomycota refers to the life forms known as mushrooms that make up 80% of all fungus species. Their body is made of hyphae and produces a fruiting body (mushroom), which is visible to the human eye. Hyphae, which have a filamentous structure, grow mostly underground, under dead leaves, and quickly produce mycelia and mushrooms when fully grown. Then, they spread spores via mushrooms to continue their reproduction.
Basidiomycota Garden reflects Basidiomycota's developmental nature of spending most of their life underground and unseen. It presents digital works by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gallery exhibition. The audience can find these works accompanied by various mushrooms growing along the path made of mycelium.

3D Environment Description:

참여작가 : 나타샤 톤테이, 돈선필, 모레신 알라야리, 무니페리, 송민정, 업체eobchae, 이영주, 케이켄, 혼프, 황선정

담자균류는 이른바 버섯으로 알려진 생물을 포함하는 대표적 균사체로, 전체 균류의 약 30% 정도를 차지한다. 몸은 다수의 균사로 이루어져 있고, 눈에 보이는 지실체(버섯)를 형성한다. 균사는 가느다란 실과 같은 형태로 대부분의 시간을 낙엽 밑, 땅속에서 생장하여 균사체를 형성하고, 생장의 한계에 다다랐을 때 짧은 시간 동안 버섯을 피운다. 그리고 이 버섯을 통해 포자를 퍼트리고 계속해서 생식을 이어간다.
대부분의 시간을 보이지 않는 땅속에서 생장하는 담자균류의 생장적인 특징을 반영한 제 3 전시관 〈담자균류의 정원〉은 오프라인 전시 참여자의 디지털 작품을 선보이며, 균사체로 이루어진 길을 따라 곳곳에 피어난 다양한 버섯과 함께 배치된 디지털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Artists: eobchae, HONF, Keiken, Mooni Perry, Morehshin Allahyari, Natasha Tontey, Song Min Jung, Sunjeong Hwang, Sunpil Don, Youngjoo Lee

Basidiomycota refers to the life forms known as mushrooms that make up 80% of all fungus species. Their body is made of hyphae and produces a fruiting body (mushroom), which is visible to the human eye. Hyphae, which have a filamentous structure, grow mostly underground, under dead leaves, and quickly produce mycelia and mushrooms when fully grown. Then, they spread spores via mushrooms to continue their reproduction.
Basidiomycota Garden reflects Basidiomycota's developmental nature of spending most of their life underground and unseen. It presents digital works by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gallery exhibition. The audience can find these works accompanied by various mushrooms growing along the path made of mycelium.

Artworks in this space:

Artwork title

불타는 눈사람 피규어 Burning Snowman Figure

Artist name 돈선필 Sunpil Don
Artwork Description:

돈선필, 〈불타는 눈사람 피규어〉,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불타는 눈사람〉은 무더운 여름의 열기와 한 겨울의 냉기를 동시에 품고 있는 영상이다. 기록적인 폭염과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폭우, 자취를 감추는 빙하와 꿀벌의 실종처럼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는 기후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3D 입체 조형물 〈불타는 눈사람 피규어〉의 앞에 영상과 나란히 위치한 〈불타는 눈사람을 위한 안내문〉은 그래픽툴 블렌더로 제작하는 피규어의 탄생 과정을 담았다. 영상에는 짧은 스크립트가 스태프롤처럼 반복되며, 중얼거리는 톤으로 궁극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VFX가 초래할 리얼리티 과잉에 대한 우려를 내비친다. 동시에 이는 안내문이 되어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지 모르는 작은 재앙에 대해 경고한다.

돈선필
돈선필은 하위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배경, 그리고 그것의 탄생 과정을 다양하게 소비하며 재생산한다. 또한 현실을 모방하고 복제하는 해상도 과잉 시대의 강박적 리얼리티를 비평하는 입체 조형물과 영상 작업을 제시한다. 개인전 《SADER X SABER》(2021, 미도파), 《Cats on Mars》(2021, 쿤스트할오르후스, 오르후스), 《Portrait Fist》(2020, 아트선재센터)를 개최했으며 단체전 《조각충동》(2022, 북서울시립미술관), 《Selfish Art-Viewer: 오늘의 감상》(2021, 금천예술공장), 《디자인은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2018, 그라시메세, 라이프치히) 등에 참여하였다.

Sunpil Don, Burning Snowman Figure,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urning Snowman presents the scorching summer heat and freezing winter coldness simultaneously. From viewing the work, one can truly understand how climate change threatens homeostasis, with its record-breaking heatwaves, unpredictable torrential rains, melting glaciers, and vanishing honeybees. Manual for Burning Snowman, lining up with the video in front of the 3D sculpture Burning Snowman Figure, show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igure in the graphic tool Blender. It plays a short script on repeat like end credits, revealing concerns regarding the surplus reality caused by VFX (visual effects), which pursues ultimate perfection. At the same time, it functions as a manual warning against a small catastrophe that may come soon.

Sunpil Don
Sunpil Don focuses on reproducing characters and backgrounds in subcultures, how they come into being, and the various ways of consuming them. He also present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videos that criticize the obsessive reality in the era of over-resolution which mimics and duplicates reality. His solo shows include SADERxSABER (Midopa, 2021), Cats on Mars (Kunsthal Aarhus, Denmark, 2021), and Portrait Fist (Art Sonje Center, 2021).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shows including Sculptural Impulse (Buk-Seoul Museum of Art, 2022), Selfish Art-Viewer (Seoul Art Space Geumcheon, 2021), and Please note: the design is subject to change (Grassi Messe, Leipzig, 2018).

Artwork title

에얼룸 Heirloom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21초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 l 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21 se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빨간색, 하얀색, 초록색, 파란색의 나무, 탑, 사원의 이미지가 깜빡이는 영상 작업이다.

Artwork title

칸틸레 Cantile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16초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16 se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은색의 금속 물체가 하얀색 꽃 주위를 핑글핑글 도는 영상 작업이다. 하얀색 꽃은 벌어졌다가 오므라지기를 반복한다.

Artwork title

데위 스리 Dewi Sri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2분 6초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2 min 6 se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초록색의 광활한 계단식 논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위로 하얀색의 글자가 겹쳐진 영상 작업이다.

Artwork title

베이비_101 BABY_101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101〉,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101,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베이비_102 BABY_102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102〉,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102,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베이비_103 BABY_103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103〉,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103,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베이비_104 BABY_104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104〉,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104,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베이비_201 BABY_201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201〉,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201,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베이비_203 BABY_203

Artist name 케이켄 Keiken
Artwork Description:

케이켄, 〈베이비_203〉, 2022, 3D 그래픽

케이켄의 ‘형태형성의 천사들’은 의식이 진화하고 발달하기 시작한 영유아 생명체, 비인간 개체, 그리고 아바타를 시리즈 형식으로 선보인다. 이 생명체들은 500년 뒤 미래의 메타버스 영역으로부터 왔으며, 의식을 고양하는 필수적이고 온화한 행위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각 생명체는 여러 개의 머리, 날개, 촉수, 더듬이가 있어 세계를 독특한 감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형태형성의 미래, 보완된 신체, 그리고 이것이 지각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상상해보도록 한다.

케이켄(Keiken)
케이켄은 2015년 타냐 크루즈, 하나 오모리, 이사벨 라모스가 공동으로 설립한 콜렉티브로, 런던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멕시코, 일본, 유럽, 유대계 등 새로운 구조와 생존 방식 그리고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실험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메타버스를 건설하고 상상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영화, 게임, 설치, 확장현실(XR), 블록체인,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사회적 동화가 어떤 방식으로 인간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인식을 지배하는지 탐구한다. 2022년 네덜란드 엔세헤데의 테템, 2020년 영국 리버풀의 FACT(Foundation for Art & Creative Technology)에서 개인전 《증강공감》을 가졌으며, 독일, 일본, 중국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를 수상하였다.

Keiken, BABY_203, 2022, 3D graphic

Keiken's "morphogenic angels" are presented in a series: infant life forms whose consciousness has just started evolving and developing, non-human entities, and avatars. These life forms come from the future of the metaverse, 500 years ahead in time, and are fully devoted to meaningful, gentle actions that heighten one's consciousness. Each has multiple heads, wings, tentacles, and feelers, experiencing the world through their senses in unique ways. They allow one to imagine the future of morphogenesis, the complemented body, and what these mean in terms of perception.

Keiken
Keiken is an artist collective co-founded by Tanya Cruz, Hana Omori, and Isabel Ramos in 2015. Based in London and Berlin, they come from mixed diasporic backgrounds (Mexican, Japanese, European, and Jewish). Keiken collaboratively builds and imagines a metaverse to simulate new structures and ways of existing and to test-drive possible futures. Keiken explores how social assimilation dominates feelings, thoughts, and perceptions of humans through a variety of mediums including filmmaking, gaming, installations, extended reality (XR), blockchain, and performance. They have held solo shows in Tetem, Enschede, Netherlands in 2022 and FACT, Liverpool, England in 2020, and were the winner of the Chanel Next Prize in 2022.

Artwork title

환영 Apparition

Artist name 이영주 Youngjoo Lee
Artwork Description:

이영주, 〈환영〉, 2022, 3D 그래픽 
〈환영〉은 가상의 사향 노루와 유희하는 공간이다. 오프라인 전시에서는 사향 노루의 시각을 가상현실을 통해 상상했다면, 온라인 전시에서는 사향 노루 캐릭터가 뛰노는 이상화된 꿈속의 공간을 상상한다. 본 공간에서는 전통 약재와 향수로서 상품적 가치를 지니는 수컷 사향 노루의 향낭(향기 주머니)이 허공에 떠다니는데, 그것들은 마치 슈퍼 마리오 게임에서 먹으면 더 강력해지고 커지는 마법의 버섯처럼 현실 세계에서 자양 강장/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된다.   

이영주
이영주는 가족, 국가, 인종, 문화, 언어에 따라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변화하는 것에 주목해 왔다. 최근 작업에서는 탈식민지적, 탈남성주의적 시점에서 집단과 개인의 연관성을 탐구하여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퍼포먼스, 드로잉, 입체 조형물 등을 통해 서술한다. 또한 개인의 성 정체성, 사회적 역할, 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별, 소외, 동화되는 현상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제시한다. 그의 작업은 《리자디언들》(2021, 탈영역우정국), 《We are never going to be the same》(2021, 오치 프로젝트, LA) 등의 개인전과 《재난과 치유》(2021,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쿠리치바 비엔날레》(2013, 오스카 니마이어 박물관, 쿠리치바) 등의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Youngjoo Lee, Apparition, 2022, 3D graphic

Apparition is a place where one can play with musk deer. The on-site exhibit allows the audience to imagine the perspective of the deer through VR. The online version illustrates an idealized dream where a musk deer character is running around, enjoying himself. In the online space, the male deer's scent gland (musk pod), which has commodity value as a traditional medicine and fragrance, floats around in the air. Like Super Mario's Super Mushrooms, which make the player grow more robust and bigger when consumed, scent glands are consumed as health tonics or panaceas in the real world.

Youngjoo Lee
Youngjoo Lee’s interest lies in the shift in individual identities and values according to family, country, race, culture, and language. In recent works, sh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and individuals from a perspective of decolonization and deconstruction of male-centeredness, using animation, virtual reality, performances, drawings, and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s. Lee also critically presents the phenomena of discrimination, alienation, and assimila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gender identity, social role, and economic status.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solo shows Lizardians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21) and We are never going to be the same (Ochi Projects, LA, 2021), and in group shows Catastrophe and Recovery (MMCA, Seoul, 2021) and Curitiba Biennial (MusA, Brazil, 2013).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불타는 눈사람 Burning Snowman

Artist name 돈선필 Sunpil Don
Artwork Description:

돈선필, 〈불타는 눈사람〉, 2022, HD 비디오, 37초

〈불타는 눈사람〉은 무더운 여름의 열기와 한 겨울의 냉기를 동시에 품고 있는 영상이다. 기록적인 폭염과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폭우, 자취를 감추는 빙하와 꿀벌의 실종처럼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는 기후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3D 입체 조형물 〈불타는 눈사람 피규어〉의 앞에 영상과 나란히 위치한 〈불타는 눈사람을 위한 안내문〉은 그래픽툴 블렌더로 제작하는 피규어의 탄생 과정을 담았다. 영상에는 짧은 스크립트가 스태프롤처럼 반복되며, 중얼거리는 톤으로 궁극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VFX가 초래할 리얼리티 과잉에 대한 우려를 내비친다. 동시에 이는 안내문이 되어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지 모르는 작은 재앙에 대해 경고한다.

돈선필
돈선필은 하위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배경, 그리고 그것의 탄생 과정을 다양하게 소비하며 재생산한다. 또한 현실을 모방하고 복제하는 해상도 과잉 시대의 강박적 리얼리티를 비평하는 입체 조형물과 영상 작업을 제시한다. 개인전 《SADER X SABER》(2021, 미도파), 《Cats on Mars》(2021, 쿤스트할오르후스, 오르후스), 《Portrait Fist》(2020, 아트선재센터)를 개최했으며 단체전 《조각충동》(2022, 북서울시립미술관), 《Selfish Art-Viewer: 오늘의 감상》(2021, 금천예술공장), 《디자인은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2018, 그라시메세, 라이프치히) 등에 참여하였다.

Sunpil Don, Burning Snowman, 2022, HD video, 37 sec

Burning Snowman presents the scorching summer heat and freezing winter coldness simultaneously. From viewing the work, one can truly understand how climate change threatens homeostasis, with its record-breaking heatwaves, unpredictable torrential rains, melting glaciers, and vanishing honeybees. Manual for Burning Snowman, lining up with the video in front of the 3D sculpture Burning Snowman Figure, show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igure in the graphic tool Blender. It plays a short script on repeat like end credits, revealing concerns regarding the surplus reality caused by VFX (visual effects), which pursues ultimate perfection. At the same time, it functions as a manual warning against a small catastrophe that may come soon.

Sunpil Don
Sunpil Don focuses on reproducing characters and backgrounds in subcultures, how they come into being, and the various ways of consuming them. He also present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videos that criticize the obsessive reality in the era of over-resolution which mimics and duplicates reality. His solo shows include SADERxSABER (Midopa, 2021), Cats on Mars (Kunsthal Aarhus, Denmark, 2021), and Portrait Fist (Art Sonje Center, 2021).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shows including Sculptural Impulse (Buk-Seoul Museum of Art, 2022), Selfish Art-Viewer (Seoul Art Space Geumcheon, 2021), and Please note: the design is subject to change (Grassi Messe, Leipzig, 2018).

분홍색의 버섯 형상 위에 빨간색의 불타는 모양의 눈사람이 빙글빙글 돌고 있다. 눈사람 왼편과 오른편에는 눈사람이 불에 타고 있는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Artwork title

불타는 눈사람을 위한 안내문 Manual for Burning Snowman

Artist name 돈선필 Sunpil Don
Artwork Description:

돈선필, 〈불타는 눈사람을 위한 안내문〉, 2022, 4K 비디오, 1분 8초

〈불타는 눈사람〉은 무더운 여름의 열기와 한 겨울의 냉기를 동시에 품고 있는 영상이다. 기록적인 폭염과 시기를 가늠할 수 없는 폭우, 자취를 감추는 빙하와 꿀벌의 실종처럼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는 기후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3D 입체 조형물 〈불타는 눈사람 피규어〉의 앞에 영상과 나란히 위치한 〈불타는 눈사람을 위한 안내문〉은 그래픽툴 블렌더로 제작하는 피규어의 탄생 과정을 담았다. 영상에는 짧은 스크립트가 스태프롤처럼 반복되며, 중얼거리는 톤으로 궁극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VFX가 초래할 리얼리티 과잉에 대한 우려를 내비친다. 동시에 이는 안내문이 되어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지 모르는 작은 재앙에 대해 경고한다

돈선필
돈선필은 하위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배경, 그리고 그것의 탄생 과정을 다양하게 소비하며 재생산한다. 또한 현실을 모방하고 복제하는 해상도 과잉 시대의 강박적 리얼리티를 비평하는 입체 조형물과 영상 작업을 제시한다. 개인전 《SADER X SABER》(2021, 미도파), 《Cats on Mars》(2021, 쿤스트할오르후스, 오르후스), 《Portrait Fist》(2020, 아트선재센터)를 개최했으며 단체전 《조각충동》(2022, 북서울시립미술관), 《Selfish Art-Viewer: 오늘의 감상》(2021, 금천예술공장), 《디자인은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2018, 그라시메세, 라이프치히) 등에 참여하였다.

Sunpil Don, Manual for Burning Snowman, 2022, 4K video, 1 min 8 sec

Burning Snowman presents the scorching summer heat and freezing winter coldness simultaneously. From viewing the work, one can truly understand how climate change threatens homeostasis, with its record-breaking heatwaves, unpredictable torrential rains, melting glaciers, and vanishing honeybees. Manual for Burning Snowman, lining up with the video in front of the 3D sculpture Burning Snowman Figure, show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igure in the graphic tool Blender. It plays a short script on repeat like end credits, revealing concerns regarding the surplus reality caused by VFX (visual effects), which pursues ultimate perfection. At the same time, it functions as a manual warning against a small catastrophe that may come soon.

Sunpil Don
Sunpil Don focuses on reproducing characters and backgrounds in subcultures, how they come into being, and the various ways of consuming them. He also present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videos that criticize the obsessive reality in the era of over-resolution which mimics and duplicates reality. His solo shows include SADERxSABER (Midopa, 2021), Cats on Mars (Kunsthal Aarhus, Denmark, 2021), and Portrait Fist (Art Sonje Center, 2021).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shows including Sculptural Impulse (Buk-Seoul Museum of Art, 2022), Selfish Art-Viewer (Seoul Art Space Geumcheon, 2021), and Please note: the design is subject to change (Grassi Messe, Leipzig, 2018).

분홍색의 버섯 형상 위에 빨간색의 불타는 모양의 눈사람이 빙글빙글 돌고 있다. 눈사람 왼편과 오른편에는 눈사람이 불에 타고 있는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Artwork title

미지의 것을 보는 그녀: 아이샤 콴디샤 She Who Sees the Unknown: Aisha Qandisha

Artist name 모레신 알라야리 Morehshin Allahyari
Artwork Description:

모레신 알라야리, 〈미지의 것을 보는 그녀: 아이샤 콴디샤〉, 2018, 3D 프린팅 레진 조각, 수조, 단채널 HD 영상, 7분 11초

아이샤 콴디샤는 이슬람권에서 가장 경외시되는 정령 중 하나로, 강의 정령이자 ‘여는 자’로 알려져 있다. 아이샤는 남성을 정복할 때 그들의 신체를 열어 하나의 교통 구역으로 만듦으로써 정령이나 악마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미지의 것을 보는 그녀: 아이샤 콴디샤〉는 남성으로부터 정서적 학대 등을 겪은 여성과, 여성성을 지닌 자들의 집단적 경험을 아이샤의 힘과 신들림이라는 의식을 통해 재구성한 사적 러브스토리다. 작가는 특히 비서구 여성의 분노에 초점을 맞춰 가려지거나 배제된 이들의 눈물을 주목한다. 

모레신 알라야리
모레신 알라야리는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이란계 쿠르드인 작가로 3D 시뮬레이션, 비디오, 조각, 그리고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활용해 신화와 역사를 재고한다. 그의 작업은 서구의 기술적 식민주의의 영속적인 영향력에 대항하는 복합 서사를 동남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맥락에서 아카이브 연구 및 스토리텔링을 통해 직조한다. 그의 작업은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뉴 뮤지엄, 휘트니 미술관, 퐁피두 센터, 몬트리올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 등 다수의 전시와 축제, 워크숍에 소개되었다.

Morehshin Allahyari, She Who Sees the Unknown: Aisha Qandisha, 2018, 3D printed resin sculpture, reflecting pool, single-channel HD video, 7 min. 11 sec

Aisha Qandisha is one of the most awed jinn in Islamic culture. She is the jinn of rivers and is known as “the opener”. When Aisha occupies men, she allows the incoming of jinn or demons by opening up their body and turning it into a traffic zone. She Who Sees the Unknown: Aisha Qandisha conveys a personal love story of women and femmes who have experienced toxic masculinity and emotional abuse. Their collective experiences are recollected through the power of Aisha and a ritual of spirit possession. Moreshin Allahyari focuses on the tears of those who are often invisible and silenced, especially women of color. 

Morehshin Allahyari
Moreshin Allahyari is an Iranian-Kurdish artist based in New York. She uses 3D simulation, video, sculpture, and digital fabrication as tools to rethink mythology and history. Through archival practices and storytelling, her work weaves together complex counter-narratives in opposition to the lasting influence of Western technological colonialism in the context of Southwest Asia and North Africa. Her works have been introduced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festivals, and workshops including Venice Biennale di Architettura, New Museum,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Pompidou Center,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Montreal, and Tate Modern.

빨간색 균사체 표면 위 긴 머리에 두 개의 얼굴의 여성, 아이샤 칸디샤에 관한 영상 작업이 재생된다.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반얀트리 Banyan Tree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 l 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 l The House Of Natural Fiber)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Artwork title

신 Scene

Artist name 송민정 Song Min Jung
Artwork Description:

송민정, 〈신〉, 2022, 2D 그래픽

〈신〉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충분히 시각화할 수 없는 어떤 시간을 이동하는 한 무리를 따라간다. 장소와 장소 사이에서 서로를 읽고 수정하는 관계로 놓인 이들의 저항적 경험은 다른 순간과 결합하고 흩어지며 유기적이고 끝없는 대화로서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온라인 전시에서는 일행이 조망하는 장소와 장소 사이 풍경을 디지털 조각으로 남긴다.

송민정
송민정은 작가 본인이 사용자가 되거나 관찰자, 사색자로 참여하는 세계 내에서 신체적인 이동을 통해 흐름을 만든다. 몸이 놓인 장소와 심리적 장소를 뒤섞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모호한 감정으로부터 작업의 언어를 찾는다. 개인전 《이빨 버터》(2021, 쿤스트할오르후스, 오르후스, 덴마크), 《COLD MOOD(1000% soft point)》(2018, 취미가) 등을 선보였으며, 단체전 《거울 속의 사물은 실제보다 가까이 있다》(2021, OCAT, 상하이), 《경계에서의 신호》(2021, 남서울 시립미술관), 《전술들》(2021, 백남준아트센터), 《부산비엔날레 :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2020, 부산현대미술관), 《연대의 홀씨》(2020, 광주아시아문화전당), 《젊은모색》(2019, 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한 바 있다. 

Song Min Jung, Scene, 2022, 2D graphic

The work Scene follows a group that moves through a time in which one cannot adequately visualize what is happening. They face a conflicting experience between places because they are placed in a relationship in which they read and revise each other. Such incidents of theirs come together with other moments and also disperse, creating an atmosphere of organic and infinite conversations. The online exhibition presents the landscapes between the sites the group observes as digital sculptures.

Song Min Jung
Minjung Song creates a particular flow by physically traveling within the world where the artist herself becomes a user, or participates as an observer or a thinker. Her artistic language stems from the ambiguous emotions that arise from the entanglemen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places. Selected solo shows include transmør (Kunsthal Aarhus, Denmark, 2021) and COLD MOOD (1000% soft point) (Taste House, 2018). She has also taken part in group shows including Objects in Mirror are closer than they Appear (OCAT, Shanghai, 2021), Signaling Perimeters (Nam-Seoul Museum of Art, 2021), Tactic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1), Busan Biennial: ten chapters and five poems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2020), Solidarity Spores (ACC, 2020), and Young Korean Artists (MMCA, 2021).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루미무웃과 또아 Lumimuut and Toar

Artist name 나타샤 톤테이 Natasha Tontey
Artwork Description:

나타샤 톤테이, 〈루미무웃과 또아〉, 2022, HD 비디오, 15초 

전설에 따르면 미나하사족 최초의 인간은 카레마로, 기도를 통해 암석에서 딸 루미무웃을 낳은 여신이다. 후손을 낳으라는 카레마의 요구에 따라 루미무웃은 의식을 치루는 과정에서 임신을 하고 또아라는 이름의 남자아이를 출산했다. 미나하사족이 6-7세기의 식민지 침탈과 전쟁, 그리고 그 전쟁에 참전한 전사들을 찬양하면서 여성성에서 남성성으로의 권력이 이동하였고, 이로 인해 또아는 중요하고 존경받는 인물로 부상하였다. 작가는 작업을 통해 또아에 종속된 카레마와 루미무웃을 재고하여 이 관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나타샤 톤테이(Natasha Tontey) 
나타샤 톤데이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로, ‘가공된 공포’를 둘러싼 역사와 신화의 허구를 탐구하는 것을 주된 예술적 실천으로 삼는다. 작가는 기존의 주요한 제도적 관점이 아닌, 소외된 존재들의 미묘하고도 사적인 투쟁의 관점으로 투영한 또 다른 미래의 가능성을 관찰한다. 그의 작업은 트랜스미디알레 2021(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라이브웍스 페스티벌 아트 2021-댄스 라이프(퍼포먼스 스페이스, 시드니), 싱가포르 국제영화제 2021(싱가포르), 아시아 영화 기록보관소 2021(올덤 씨어터, 싱가포르) 등에서 선보였다. 2020년에는 독일 칼스루에 미디어아트센터(ZKM)와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에서 ‘HASH’상을 받은 바 있다. 

Natasha Tontey, Lumimuut and Toar, 2022, HD video, 15 sec

A legend says that the first member of the Minahasans was Karema, the goddess who gave birth to her daughter Lumimuut through a stone after prayers. Karema ordered Lumimuut to produce offspring, and Lumimuut became pregnant during a ritual and gave birth to a boy named Toar. As Minahasans went through the 6th and 7th-century colonization and wars and honored the warriors who fought in the wars, the power shifted from femininity to masculinity. As a result, Toar became a significant and respected figure. In her work, the artist reassesses Karema and Lumimuut, considered subordinate to Toar, to contemplate their relationship from a new perspective.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is an artist based in Yogyakarta, Indonesia, and her artistic practice predominantly explores the fictional accounts of the history and myths surrounding ‘manufactured fear.’ The artist observes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proj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tle and personal struggles of outcast beings, rather than the existing perspective of major institutions. Her work has been shown at Transmediale 2021 (Bethonhalle, Silent Green, Berlin), Liveworks Festival Art 2021-Dance Life (Performance Space, Sydney),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1 (Singapore), and Asian Film Archive 2021 (Oldham Theater, Singapore). In 2020, she received the HASH Award from ZKM and Akademie Schloss-Solitude. 

돌로 이루어진 두 인물은 상반신과 하반신이 하나로 연결되어있다. 소녀는 직립하고 있고 소년은 손을 짚고 바닥을 기고 있다. 소년이 입에서 초록색 액체를 내뿜으면 웅덩이가 만들어진다.

Artwork title

루미무웃과 또아 Lumimuut and Toar

Artist name 나타샤 톤테이 Natasha Tontey
Artwork Description:

나타샤 톤테이, 〈루미무웃과 또아〉, 2022, HD 비디오, 7초

전설에 따르면 미나하사족 최초의 인간은 카레마로, 기도를 통해 암석에서 딸 루미무웃을 낳은 여신이다. 후손을 낳으라는 카레마의 요구에 따라 루미무웃은 의식을 치루는 과정에서 임신을 하고 또아라는 이름의 남자아이를 출산했다. 미나하사족이 6-7세기의 식민지 침탈과 전쟁, 그리고 그 전쟁에 참전한 전사들을 찬양하면서 여성성에서 남성성으로의 권력이 이동하였고, 이로 인해 또아는 중요하고 존경받는 인물로 부상하였다. 작가는 작업을 통해 또아에 종속된 카레마와 루미무웃을 재고하여 이 관계를 새로운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나타샤 톤테이(Natasha Tontey) 
나타샤 톤데이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로, ‘가공된 공포’를 둘러싼 역사와 신화의 허구를 탐구하는 것을 주된 예술적 실천으로 삼는다. 작가는 기존의 주요한 제도적 관점이 아닌, 소외된 존재들의 미묘하고도 사적인 투쟁의 관점으로 투영한 또 다른 미래의 가능성을 관찰한다. 그의 작업은 트랜스미디알레 2021(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라이브웍스 페스티벌 아트 2021-댄스 라이프(퍼포먼스 스페이스, 시드니), 싱가포르 국제영화제 2021(싱가포르), 아시아 영화 기록보관소 2021(올덤 씨어터, 싱가포르) 등에서 선보였다. 2020년에는 독일 칼스루에 미디어아트센터(ZKM)와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에서 ‘HASH’상을 받은 바 있다. 

Natasha Tontey, Lumimuut and Toar, 2022, HD video, 7 sec

A legend says that the first member of the Minahasans was Karema, the goddess who gave birth to her daughter Lumimuut through a stone after prayers. Karema ordered Lumimuut to produce offspring, and Lumimuut became pregnant during a ritual and gave birth to a boy named Toar. As Minahasans went through the 6th and 7th-century colonization and wars and honored the warriors who fought in the wars, the power shifted from femininity to masculinity. As a result, Toar became a significant and respected figure. In her work, the artist reassesses Karema and Lumimuut, considered subordinate to Toar, to contemplate their relationship from a new perspective.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is an artist based in Yogyakarta, Indonesia, and her artistic practice predominantly explores the fictional accounts of the history and myths surrounding ‘manufactured fear.’ The artist observes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proj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tle and personal struggles of outcast beings, rather than the existing perspective of major institutions. Her work has been shown at Transmediale 2021 (Bethonhalle, Silent Green, Berlin), Liveworks Festival Art 2021-Dance Life (Performance Space, Sydney),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1 (Singapore), and Asian Film Archive 2021 (Oldham Theater, Singapore). In 2020, she received the HASH Award from ZKM and Akademie Schloss-Solitude. 

돌로 이루어진 두 인물은 상반신과 하반신이 하나로 연결되어있다. 소녀는 직립하고 있고 소년은 손을 짚고 바닥을 기고 있다. 소녀의 얼굴을 여러 각도에서 짧은 컷으로 비추다가,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Artwork title

작품 - 10 - 나타샤톤티_image_01

작품 - 10 - 나타샤톤티_image_01
Artwork title

마팔루스세 시대의 계획 The Epoch of Mapalucene Scheme

Artist name 나타샤 톤테이 Natasha Tontey
Artwork Description:

나타샤 톤테이, 〈마팔루스세 시대의 계획〉, 2021, 2D 그래픽

마팔루스세 시대는 하나의 사변적 지질 시대이다. 작가는 미나하사족의 우주론과 철학으로부터 영향받아 지구 위에 거주하는 존재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대가 가능한 지질학적 힘을 제시한다.

나타샤 톤테이(Natasha Tontey) 
나타샤 톤데이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로, ‘가공된 공포’를 둘러싼 역사와 신화의 허구를 탐구하는 것을 주된 예술적 실천으로 삼는다. 작가는 기존의 주요한 제도적 관점이 아닌, 소외된 존재들의 미묘하고도 사적인 투쟁의 관점으로 투영한 또 다른 미래의 가능성을 관찰한다. 그의 작업은 트랜스미디알레 2021(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라이브웍스 페스티벌 아트 2021-댄스 라이프(퍼포먼스 스페이스, 시드니), 싱가포르 국제영화제 2021(싱가포르), 아시아 영화 기록보관소 2021(올덤 씨어터, 싱가포르) 등에서 선보였다. 2020년에는 독일 칼스루에 미디어아트센터(ZKM)와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에서 ‘HASH’상을 받은 바 있다. 

Natasha Tontey, The Epoch of Mapalucene Scheme, 2021, 2D graphic

The Epoch of Mapalucene is a speculative geologic epoch. Influenced by Minahasan cosmology and philosophy, the artist presents a geological force that allows mutual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st Earth's inhabitants.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is an artist based in Yogyakarta, Indonesia, and her artistic practice predominantly explores the fictional accounts of the history and myths surrounding ‘manufactured fear.’ The artist observes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proj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tle and personal struggles of outcast beings, rather than the existing perspective of major institutions. Her work has been shown at Transmediale 2021 (Bethonhalle, Silent Green, Berlin), Liveworks Festival Art 2021-Dance Life (Performance Space, Sydney),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1 (Singapore), and Asian Film Archive 2021 (Oldham Theater, Singapore). In 2020, she received the HASH Award from ZKM and Akademie Schloss-Solitude.

The Epoch of Mapalucene Scheme
마팔루스세 세계관을 설명하는 글이 적혀져 있다.
Artwork title

마팔루스세 시대의 계획 The Epoch of Mapalucene Scheme

Artist name 나타샤 톤테이 Natasha Tontey
Artwork Description:

나타샤 톤테이, 〈마팔루스세 시대의 계획〉, 2021, 2D 그래픽
마팔루스세 시대는 하나의 사변적 지질 시대이다. 작가는 미나하사족의 우주론과 철학으로부터 영향받아 지구 위에 거주하는 존재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대가 가능한 지질학적 힘을 제시한다.

나타샤 톤테이(Natasha Tontey) 
나타샤 톤데이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로, ‘가공된 공포’를 둘러싼 역사와 신화의 허구를 탐구하는 것을 주된 예술적 실천으로 삼는다. 작가는 기존의 주요한 제도적 관점이 아닌, 소외된 존재들의 미묘하고도 사적인 투쟁의 관점으로 투영한 또 다른 미래의 가능성을 관찰한다. 그의 작업은 트랜스미디알레 2021(세계문화의 집, 베를린), 라이브웍스 페스티벌 아트 2021-댄스 라이프(퍼포먼스 스페이스, 시드니), 싱가포르 국제영화제 2021(싱가포르), 아시아 영화 기록보관소 2021(올덤 씨어터, 싱가포르) 등에서 선보였다. 2020년에는 독일 칼스루에 미디어아트센터(ZKM)와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에서 ‘HASH’상을 받은 바 있다. 

Natasha Tontey, The Epoch of Mapalucene Scheme, 2021, 2D graphic

The Epoch of Mapalucene is a speculative geologic epoch. Influenced by Minahasan cosmology and philosophy, the artist presents a geological force that allows mutual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st Earth's inhabitants.

Natasha Tontey
Natasha Tontey is an artist based in Yogyakarta, Indonesia, and her artistic practice predominantly explores the fictional accounts of the history and myths surrounding ‘manufactured fear.’ The artist observes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proj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tle and personal struggles of outcast beings, rather than the existing perspective of major institutions. Her work has been shown at Transmediale 2021 (Bethonhalle, Silent Green, Berlin), Liveworks Festival Art 2021-Dance Life (Performance Space, Sydney),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21 (Singapore), and Asian Film Archive 2021 (Oldham Theater, Singapore). In 2020, she received the HASH Award from ZKM and Akademie Schloss-Solitude.

마팔루스세 시대의 계획
마팔루스세 세계관을 설명하는 글이 적혀져 있다.
Artwork title

청사 트레이딩 카드 Green Snake Trading Card

Artist name 무니페리 Mooni Perry
Artwork Description:

무니페리, 〈Green Snake & White Snake Trading Card〉, 2022, 3D 그래픽

무니페리의 영상작업 〈빈랑시스〉 두 번째 챕터의 마지막 장면은 홍콩 영화 「청사」(1993)의 애프터 스토리를 짧게 구현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작가는 영상의 두 주인공 ‘백사’와 ‘청사’를 3D 트레이딩 카드로 제작하였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전시의 버섯 위에 배치될 영상은 〈빈랑시스〉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실종: 유령으로도 돌아오지 못하고〉의 이행 단계에서 나온 리서치 키워드들로 구성한 작업이다.

무니페리
무니페리는 아시아 페미니즘과 비거니즘, 인간동물학(human-animal studies) 등을 횡단하며 리서치와 사유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수직, 수평으로 엮어 영상매체로 제시한다. 서로 연관없어 보이는 이야기들의 연결지점을 찾으며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시공을 가로지르는 이야기를 만들고자 한다. 《금호영아티스트》(2022, 금호미술관), 《빈랑시스》(2021, 씨알콜렉티브), 《Mooni Perry Exhibition》(2020, 뷰로크라시 스터디스, 로잔)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2021년부터 큐레이터 장한웬과 온라인 아시아 페미니즘 플랫폼 AFSAR(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을 시작하여 여러 연구자, 활동가, 작가와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Mooni Perry, Green Snake & White Snake Trading Card, 2022, 3D graphic

The last scene of the second chapter of Mooni Perry's Binlang Xishi tells a brief story that follows the ending of the Hong Kong film Green Snake (1993). The artist produced 3D trading cards with the film's two main characters, White Snake and Green Snake. There is also a video inside the mushroom in the online space consisting of the research keywords gathe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rtist's current project Missing: When My Dog Can't Even Come Back as a Ghost, as part of the Binlang Xishi project.

Mooni Perry
Intersecting Asian feminism, veganism, and human-animal studies, Mooni Perry weaves her stori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research and philosophy, using video as her medium. She creates a story that crosses time and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by connecting the dots in stories that seem unrelated to one another. Her solo shows include Kumho Young Artist (Kumho Museum of Art, 2022), Binlang Xishi (CR Collective, 2021), and Mooni Perry Exhibition (Bureaucracy Studies, Lausanne, 2020). In 2021, together with Hanwen Zhang, she launched the online platform AFSAR (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 undertaking various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ers, activists, and artists.

Artwork title

한 마을에 취직한 정원사 균 씨의 출근 첫날. 낯선 마을의 이방인에서 주민으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균 씨는 축축하고 다정한 변화를 겪는다. It is Mycota’s first day as the village gardener. They’ve just moved to the village, but in time Mycota experiences a warm, damp transformation as they shift from outsider to inhabitant.

Artist name 보선 Bosun
Artwork Description:

보선, 「정원사 균 씨의 하루」,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보선 
프리랜서 작가이다. 어두운 마음 안에서 작은 빛을 찾아 그려내길 좋아한다. 더 많은 존재가 덜 고통받길 바라는 마음으로 비건을 지향하고 있다. 『적적한 공룡 만화』(2021), 『나의 비거니즘 만화』(2020), 『평범을 헤매다 별에게로』(2016)를 지었다.

Bosun, “A Day in the Life of Mycota the Gardener,”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Bosun
Bosun is a freelance writer who enjoys finding and portraying a small light in the darkness of one’s heart. She practices veganism, hoping there will be fewer lives that suffer. She is the author of The Lonely Dinosaur Cartoon (2021), My Veganism Cartoon (2020), and To the Stars after Being Lost in the Ordinary (2016).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정원사 균 씨의 하루 A Day in the Life of Mycota the Gardener
한 마을에 취직한 정원사 균 씨의 출근 첫날. 낯선 마을의 이방인에서 주민으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균 씨는 축축하고 다정한 변화를 겪는다.  It is Mycota’s first day as the village gardener. They’ve just moved to the village, but in time Mycota experiences a warm, damp transformation as they shift from outsider to inhabitant.
Artwork title

여자고등학교는 현존하는 혁명적 공간이다. 거기서는 매일 밤 쪽지와 싸움, 키스로 달려가는 키스가 일어난다. A girls’ high school is an actual revolutionary space. Scribbled notes, fights, kisses running to kisses are a nightly occurrence there.

Artist name 서한나 Hannah Seo
Artwork Description:

서한나, 「텍스트 큐피드 에로스」,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서한나
『사랑의 은어』(2021)와 『피리 부는 여자들』(2020)을 썼다. 글에 대한 평가 중 반가웠던 것으로 “술 한잔하자고 하면 애니타임 슈어일 정도로 장소를 마법화시켜...”라는 말이 있다. 여자가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순간 로맨스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Hannah Seo, “Text Cupid Eros”,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Hannah Seo
Hannah Seo has authored The Jargon of Love (2021) and The Female Pied Pipers (2020). One of the favorite comments she received from a reader is "Her writing makes the place so magical that if she invites me for a drink, I would say, Sure, anytime.” She believes romance begins when a woman loves herself.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텍스트 큐피드 에로스 Text Cupid Eros
여자고등학교는 현존하는 혁명적 공간이다. 거기서는 매일 밤 쪽지와 싸움, 키스로 달려가는 키스가 일어난다.  A girls’ high school is an actual revolutionary space. Scribbled notes, fights, kisses running to kisses are a nightly occurrence there.
Artwork title

우리는 알고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글을 읽는 것보다 네티, 캐롤, 인기 많던 그 애를 마주치는 것이 때로 빛보다 빠르고 구보다 완전하다는 것을. This we know: Sometimes, encountering a Nettie, a Carol, or that popular girl can be quicker than light and more encompassing than a sphere than it is to read the entire body of written works in the world.

Artist name 서한나 Hannah Seo
Artwork Description:

서한나, 「텍스트 큐피드 에로스」,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서한나
『사랑의 은어』(2021)와 『피리 부는 여자들』(2020)을 썼다. 글에 대한 평가 중 반가웠던 것으로 “술 한잔하자고 하면 애니타임 슈어일 정도로 장소를 마법화시켜...”라는 말이 있다. 여자가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순간 로맨스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Hannah Seo, “Text Cupid Eros”,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Hannah Seo
Hannah Seo has authored The Jargon of Love (2021) and The Female Pied Pipers (2020). One of the favorite comments she received from a reader is "Her writing makes the place so magical that if she invites me for a drink, I would say, Sure, anytime.” She believes romance begins when a woman loves herself.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텍스트 큐피드 에로스 Text Cupid Eros
우리는 알고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글을 읽는 것보다 네티, 캐롤, 인기 많던 그 애를 마주치는 것이 때로 빛보다 빠르고 구보다 완전하다는 것을.  This we know: Sometimes, encountering a Nettie, a Carol, or that popular girl can be quicker than light and more encompassing than a sphere than it is to read the entire body of written works in the world.
Artwork title

‘My Heritage Sign Language Dictionary’는 말 그대로 나의 계승수어 사전이다. 농인 부모로부터 수어를 모어로 배우고 집 바깥에서는 한국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사용했던 이중언어 사용자의 기록이기도 하다. 'My Heritage Sign Language Dictionary' is a lexicon of the signed language I’ve inherited. It is also the record of a bimodal bilingual, as I learned Korean Sign Language from my parents but use spoken and written Korean outside the home.

Artist name 이길보라 Bora Lee-kil
Artwork Description:

이길보라, 「나의 계승수어 사전」,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이길보라
농인 부모로부터 태어난 것이 이야기꾼의 선천적인 자질이라고 믿고, 글을 쓰고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는다. 18살에 학교를 그만두고 동남아시아를 홀로 여행하며 겪은 이야기를 『길은 학교다』(2009)와 『로드스쿨러』(2009)로 펴냈다. 농부모의 반짝이는 세상을 딸이자 감독의 시선으로 담은 영화 「반짝이는 박수 소리」(2014)를 찍고, 동명의 책(2015)을 출간했다.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을 다룬 영화 「기억의 전쟁」(2018)은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 부문 심사위원 특별언급을 받았다. 202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젊은 작가들에게 수여하는 ‘영 암스테르담 서포트 어워드’를 수상했고, 2020년 베를린국제영화제 ‘탤런츠랩: 독스테이션’에 공식 초청되었다. 2021년 네덜란드 정부가 세계 각국의 여성 리더에게 수여하는 ‘젠더 챔피언 어워드’를 받았다. 

Bora Lee-Kil, “My Heritage Sign Dictionary”,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Bora Lee-Kil
Bora Lee-Kil writes and makes films, believing that being born to deaf parents made her a natural storyteller. Her books Road Is School (2009) and Road-Schooler (2009) tell stories about her quitting school at 18 and solo-traveling in Southeast Asia. Her film Glittering Hands (2014) shows the beautiful world that her deaf parents encounter from the perspective of a daughter as a film director, and a homonymous book was published in 2015. A War of Memories, a film about the different memories of a massacre of civilians committed by Korean soldiers during the Vietnam War, received the jury's special mention for the Wide Angle Competition section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18. Lee-Kil also received the 2020 Young Amsterdam Support Award, given to young artists in Amsterdam and was officially invited to the Berlinale 
Talents' Doc Station at the 2020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21, she received the Gender Champion Award for women leaders worldwide presented by the Dutch government.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나의 계승수어 사전 My Heritage Sign Dictionary
‘My Heritage Sign Language Dictionary’는 말 그대로 나의 계승수어 사전이다. 농인 부모로부터 수어를 모어로 배우고 집 바깥에서는 한국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사용했던 이중언어 사용자의 기록이기도 하다.  'My Heritage Sign Language Dictionary' is a lexicon of the signed language I’ve inherited. It is also the record of a bimodal bilingual, as I learned Korean Sign Language from my parents but use spoken and written Korean outside the home.
Artwork title

두려움을 느끼는 바로 그 지점이 그녀가 새롭게 탐구해야 할 영역입니다. What she fears is precisely what she must set out to explore.

Artist name 하미나 Mina Ha
Artwork Description:

하미나, 「해피 엔딩」,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하미나
논픽션 작가이다. 학부에서 지구환경과학과 철학을, 대학원에서 과학사를 공부했다. 2016년 강남역 여성 표적 살인사건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여성 운동 단체 ‘페미당당’에서 활동가로 지냈다. 이 시기에 깊어진 우울증을 고민하다 이를 주제로 논문을 쓰고 대학원을 탈출했다. 칼럼니스트, 과학 기자, 글쓰기 교사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다 작가로 살기로 결심, 『시사IN』, 『한겨레21』, 『한국일보』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해왔다. 2020년 그간의 연구와 만남, 고민을 한데 모은 첫 책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2021)을 펴냈다.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 실제로 다르게 존재하는 세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있다.

Mina Ha, “Happy Ending”,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Mina Ha
A nonfiction writer, Mina Ha studied earth environmental science and philosophy for her B.A and history of science for M.A. She was an activist in the feminist group Femi Dang-dang, which was initiated after the Gangnam Station femicide in 2016. She struggled with severe depression at that time and chose to write about it for her thesis to "escape" her master's program. Among her many jobs as a columnist, science reporter, and writing tutor, she decided to become a writer. She has contributed to many magazines such as SisaIN, Hankyoreh21, and Hankook Ilbo. In 2020, she began writing her book Crazy, Peculiar, Pompous, and Smart Women, a collection of research, encounters, and concerns of her, published in 2021. Ha is interested in how humans cognize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s that exist differently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ognition.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해피 엔딩 Happy Ending
두려움을 느끼는 바로 그 지점이 그녀가 새롭게 탐구해야 할 영역입니다.  What she fears is precisely what she must set out to explore.
Artwork title

우리는 결코 길을 잃지 않습니다. We are never lost.

Artist name 하미나 Mina Ha
Artwork Description:

하미나, 「해피 엔딩」, 2022

이 글과 문장은 2022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네 명의 참여자 보선, 서한나, 이길보라, 하미나는 3회의 워크숍에서 우정을 전하는 전략, 언어를 다른 감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야기를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 이후 4인의 필자들은 함께 나눈 대화와 각자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으며, 글의 전문은 티저 웹사이트와 아카이브라운지에서, 문구는 온라인 전시관 〈균사체의 정원〉의 세계 속에 등장합니다. 

하미나
논픽션 작가이다. 학부에서 지구환경과학과 철학을, 대학원에서 과학사를 공부했다. 2016년 강남역 여성 표적 살인사건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여성 운동 단체 ‘페미당당’에서 활동가로 지냈다. 이 시기에 깊어진 우울증을 고민하다 이를 주제로 논문을 쓰고 대학원을 탈출했다. 칼럼니스트, 과학 기자, 글쓰기 교사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다 작가로 살기로 결심, 『시사IN』, 『한겨레21』, 『한국일보』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해왔다. 2020년 그간의 연구와 만남, 고민을 한데 모은 첫 책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2021)을 펴냈다.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 실제로 다르게 존재하는 세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있다.

Mina Ha, “Happy Ending”, 2022

The written works and phrases were produced as part of a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for the 2022 ARKO Art & Tech Festival. Bo Seon, Hanna Seo, Bora Lee-Kil, and Mina Ha, the four participants, discussed the following over three meetings: strategies for sharing friendship, methods of transforming language into other senses, and various ways of exchanging stories. After the workshops, they created written works based on their conversations and their own interests. The entire text can be found on the teaser website and ARKO Archive Lounge, and selected phrases appear in the world of the online exhibition Mycelium Garden.

Mina Ha
A nonfiction writer, Mina Ha studied earth environmental science and philosophy for her B.A and history of science for M.A. She was an activist in the feminist group Femi Dang-dang, which was initiated after the Gangnam Station femicide in 2016. She struggled with severe depression at that time and chose to write about it for her thesis to "escape" her master's program. Among her many jobs as a columnist, science reporter, and writing tutor, she decided to become a writer. She has contributed to many magazines such as SisaIN, Hankyoreh21, and Hankook Ilbo. In 2020, she began writing her book Crazy, Peculiar, Pompous, and Smart Women, a collection of research, encounters, and concerns of her, published in 2021. Ha is interested in how humans cognize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s that exist differently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ognition.

Phrases translated by Emily Yae Won

해피 엔딩 Happy Ending
우리는 결코 길을 잃지 않습니다. We are never lost.
Artwork title

무니페리의 리서치 위드미, Popping Words Research with Mooni Perry_Popping Words

Artist name 무니페리 Mooni Perry
Artwork Description:

무니페리, 〈무니페리의 리서치 위드미, Popping Words〉, 2022, 단채널 HD 비디오, 컬러, 2분 54초

무니페리의 영상작업 〈빈랑시스〉 두 번째 챕터의 마지막 장면은 홍콩 영화 「청사」(1993)의 애프터 스토리를 짧게 구현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작가는 영상의 두 주인공 ‘백사’와 ‘청사’를 3D 트레이딩 카드로 제작하였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전시의 버섯 위에 배치될 영상은 〈빈랑시스〉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실종: 유령으로도 돌아오지 못하고〉의 이행 단계에서 나온 리서치 키워드들로 구성한 작업이다.

무니페리
무니페리는 아시아 페미니즘과 비거니즘, 인간동물학(human-animal studies) 등을 횡단하며 리서치와 사유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수직, 수평으로 엮어 영상매체로 제시한다. 서로 연관없어 보이는 이야기들의 연결지점을 찾으며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시공을 가로지르는 이야기를 만들고자 한다. 《금호영아티스트》(2022, 금호미술관), 《빈랑시스》(2021, 씨알콜렉티브), 《Mooni Perry Exhibition》(2020, 뷰로크라시 스터디스, 로잔)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2021년부터 큐레이터 장한웬과 온라인 아시아 페미니즘 플랫폼 AFSAR(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을 시작하여 여러 연구자, 활동가, 작가와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Mooni Perry, Research with Mooni Perry_Popping Words, 2022, single-channel HD video, color, 2 min. 54 sec

The last scene of the second chapter of Mooni Perry's Binlang Xishi tells a brief story that follows the ending of the Hong Kong film Green Snake (1993). The artist produced 3D trading cards with the film's two main characters, White Snake and Green Snake. There is also a video inside the mushroom in the online space consisting of the research keywords gathe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rtist's current project Missing: When My Dog Can't Even Come Back as a Ghost, as part of the Binlang Xishi project.

Mooni Perry
Intersecting Asian feminism, veganism, and human-animal studies, Mooni Perry weaves her stori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research and philosophy, using video as her medium. She creates a story that crosses time and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by connecting the dots in stories that seem unrelated to one another. Her solo shows include Kumho Young Artist (Kumho Museum of Art, 2022), Binlang Xishi (CR Collective, 2021), and Mooni Perry Exhibition (Bureaucracy Studies, Lausanne, 2020). In 2021, together with Hanwen Zhang, she launched the online platform AFSAR (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 undertaking various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ers, activists, and artists.

해수면의 영상을 배경으로 흰색 글씨의 키워드들이 계속해서 떠오른다.

Artwork title

백사 트레이딩 카드 White Snake Trading Card

Artist name 무니페리 Mooni Perry
Artwork Description:

무니페리, 〈Green Snake & White Snake Trading Card〉, 2022, 3D 그래픽

무니페리의 영상작업 〈빈랑시스〉 두 번째 챕터의 마지막 장면은 홍콩 영화 「청사」(1993)의 애프터 스토리를 짧게 구현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작가는 영상의 두 주인공 ‘백사’와 ‘청사’를 3D 트레이딩 카드로 제작하였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전시의 버섯 위에 배치될 영상은 〈빈랑시스〉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실종: 유령으로도 돌아오지 못하고〉의 이행 단계에서 나온 리서치 키워드들로 구성한 작업이다.

무니페리
무니페리는 아시아 페미니즘과 비거니즘, 인간동물학(human-animal studies) 등을 횡단하며 리서치와 사유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수직, 수평으로 엮어 영상매체로 제시한다. 서로 연관없어 보이는 이야기들의 연결지점을 찾으며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시공을 가로지르는 이야기를 만들고자 한다. 《금호영아티스트》(2022, 금호미술관), 《빈랑시스》(2021, 씨알콜렉티브), 《Mooni Perry Exhibition》(2020, 뷰로크라시 스터디스, 로잔)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2021년부터 큐레이터 장한웬과 온라인 아시아 페미니즘 플랫폼 AFSAR(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을 시작하여 여러 연구자, 활동가, 작가와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Mooni Perry, Green Snake & White Snake Trading Card, 2022, 3D graphic

The last scene of the second chapter of Mooni Perry's Binlang Xishi tells a brief story that follows the ending of the Hong Kong film Green Snake (1993). The artist produced 3D trading cards with the film's two main characters, White Snake and Green Snake. There is also a video inside the mushroom in the online space consisting of the research keywords gathe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rtist's current project Missing: When My Dog Can't Even Come Back as a Ghost, as part of the Binlang Xishi project.

Mooni Perry
Intersecting Asian feminism, veganism, and human-animal studies, Mooni Perry weaves her stori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research and philosophy, using video as her medium. She creates a story that crosses time and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by connecting the dots in stories that seem unrelated to one another. Her solo shows include Kumho Young Artist (Kumho Museum of Art, 2022), Binlang Xishi (CR Collective, 2021), and Mooni Perry Exhibition (Bureaucracy Studies, Lausanne, 2020). In 2021, together with Hanwen Zhang, she launched the online platform AFSAR (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 undertaking various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ers, activists, and artists.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Eobchaecoin Breadcrumb

Artist name 업체eobchae
Artwork Description:

업체eobchae, 〈업체코인 브레드크럼〉, 2022, 3D 그래픽, 가변 크기

브레드크럼(breadcrumb)은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돕는 시각적 요소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흩뿌려진 빵가루에서 정보의 냄새를 맡고 탐색에 나선다. 직관을 조정하는 무수히 많은 변수 중, 신호와 계시는 구분이 불가능하다. 업체코인 브레드크럼을 하나씩 주워섬기는 사용자는 과연 어디로 인도될지, 덜컹거리는 불안한 여정 끝에 달로 가는(mooning) 티켓을 발견하게 될지 혹은 그저 캄캄한 열죽음을 맞이하게 될지 결말은 열려있다. 

업체eobchae
업체eobchae는 김나희, 오천석, 황휘로 구성된 오디오-비주얼 프로덕션으로, 비평적 관점이 소거되지 않은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거래한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토착적인 초상과 미래에 속하는 이미지들을 불러오며, 생성된 타임라인을 가로질러 물질적인 신체와 가상적인 영혼을 연동시킨다. 개인전 《AMAEBCH》(2022, 뮤지엄헤드), 《업체eobchae X 류성실, CHERRY-GO-ROUND》(2019, 백남준아트센터) 등을 선보였으며, 《아레시보》(2022, TINC), 《현실이상》(2020, 백남준아트센터), 《내가 사는 피드》(2020, 아르코미술관), 《뉴스, 리플리에게》(2018,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eobchae, Eobchaecoin Breadcrumb, 2022, 3D graphic, dimensions variable

Breadcrumb refers to a visual element that helps users navigate the website. Users begin their exploration by detecting hidden information in the breadcrumbs scattered around the websit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signals and revelations from the countless variables that control intuition. So, where will the users who chatter about each “eobchaecoin” (Breadcrumb) be led? Will they find "mooning" tickets (tickets to the moon) at the end of their wild journey, or will they only walk into the darkness, the heat death of the universe? The ending is wide open.

eobchae
eobchae is an audio-visual production consisting of Nahee Kim, Chunsuk Oh, and Hwi Hwang, producing and trading goods and services with unmuted critical perspectives. Images that belong to the future and are indigenous are recalled through computing devices, linking the materialized body with the virtual soul across the generated timeline. eobchae’s solo shows include AMAEBCH (Museumhead, 2022) and eobchae X Ryu Sungsil: CHERRY-GO-ROUND (Nam June Paik Art Center, 2019), and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Arecibo (TINC, 2022), Reality Errors (Nam June Paik Art Center, 2020), Follow, Flow, Feed (Arko Museum, 2020), and News, Dear Mr. Ripley (Buk-Seoul Museum of Art, 2018).

Artwork title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5 Different Tanhamu Species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5개의 다른 탄하무 종〉, 2022, 3D 그래픽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현재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 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5 Different Tanhamu Species, 2022, 3D graphic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Artwork title

탄하무 워프 드라이브 Tanhamu Warp Drive

Artist name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황선정, 〈탄하무 워프 드라이브〉, 2021, 단채널 비디오, 14분 5초
크리에이티브 비주얼, 촬영, 각본 : 황선정
사운드 디자인, 제너러티브 AI : 문규철
뉴럴 렌더링 : 세르지오 브롬버그
출연진 : 이정민

온라인에서는 탄하무에 대한 영상 작업 한편과 함께 탄하무종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체는 인류세라 일컫는 지질학 시대 이전부터 지구의 지질시대 대부분을 함께해온 유기체다. ‘메타볼릭 오간’이라 불리는 이 버섯들을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자연적, 지구적 관점에서 공존에 대해 탐색한다. 균곰팡이의 관계와 네트워크, 그리고 이들의 ‘비결정론적’ 생장 과정을 가장 유기적이면서도 제너러티브한 기술 매체인 뉴럴랜더링, 뉴럴네트워크, AI 신경망을 활용하여 춤을 추듯 일렁이면서 균들이 합성되고 확장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황선정
황선정은 인간-자연-기술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찾으며, 다학제적 연구를 근간으로 비인간, 포스트휴먼과 기술, 자연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디스토피아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결핍에 대해 상상하면서 감각과 비감각, 인간과 비인간의 인터페이스를 실험하고, 이 시대의 휴머니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AI, 제너러티브코딩, 음악, 오디오비주얼 등의 다양한 기술 매체와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는 컴퓨팅 작업, 유기체 운동 연구를 통한 바이오 미디어와의 결합을 시도한다. 최근 작업에서는 식물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작업과 균사네트워크를 가상세계로 구현한 〈탄하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오가노토피아》(2022, 파라다이스아트랩), 《새로운 지구 행성으로의 이주》(202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Sunjeong Hwang, Tanhamu Warp Drive, 2021, single-channel video, 14 min. 5 sec.
Creative Visuals, Cinematograph, Writer : Sunjeong Hwang 
Sound design, Generative AI : Gyuchul  Moon 
Neural Rendering : Sergio Bromberg
Cast : Jeongmin Lee 

The audience can find Tanhamu species in a video about Tanhamu online. Mycelium is an organism that has existed since the time before the geological age referred to as the Anthropocene. In other words, it has been around most of the geological period. Through these mushrooms called "metabolic organs," the artist reveals human-induced problems and looks into the ways of co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earth. Utilizing neural rendering, a neural network, and an AI neural network—the most organic and generative technologies—5 Different Tanhamu Species presents the fungi’s relations and networks, and their nondeterministic process of growth in how fungi are synthesized and expanded like dancing waves.

Sunjeong Hwang
Sunjeong Hwang looks for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s, post-humanity and technology, and nature based on multidisciplinary research. Imagining the deficiencies of the postmodern era, represented by dystopia, she attempts to experiment with sensory and non-sensory, human and non-human interfaces, and proposes humanities of this generation. Using various technical media such as new media, installation, AI, general coding, music, and A/V, she seeks to combine with bio-media through computing work based on organic structures or research on organisms’ movement. Currently, based on research about plant and mycelium networks, she is continuing sound work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lants and Tanhamu Project, constructing mycelium networks into a virtual world. Her works have been shown in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Organotopia (Paradise Art Lab, Incheon, 2022) and Migration to a New Earth Planet (ACC, Gwangju, 2021).

형형색색의 버섯과 균류 모양의 조각 5개가 노란색 균사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노란색의 균사체 표면에는 버섯과 균류의 모습이 일렁이는 영상 작업이 재생된다.

Artwork title

작품 - 7 - 이영주 - 노루소리

Artwork title

작품 - 7 - 이영주 - 노루소리

Artwork title

작품 - 7 - 이영주 - 노루소리

Artwork title

작품 - 7 - 이영주 - 노루소리

Artwork title

작품 - 7 - 이영주 - 노루소리

Artwork title

니 로로 키툴 Nyi Roro Kidul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30 초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30 se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파란색의 파도가 흘러가는 영상과 함께 책상 위에 액체가 담긴 유리병이 여러개 나열되어 있는 사진이 겹쳐져 있다.

Artwork title

잉선 INGSUN

Artist name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Natural Fiber)
Artwork Descriptio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잉선〉, 2022, 3D 그래픽

혼프
지셀라 마리아, 이라 아그리비나, 노나 요아니사라, 비오 안다루, 하리오 후토모, 도니 유단토
협력
유디안토 아스모로, 요가 페르마나 푸트라, 지안 핑가, 갈리 쿠르니아완,
아딧야 타마, 루이스 마르셀리노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콜렉티브 혼프의 〈잉선〉은 신을 화가로, 인간을 신의 그림으로 보는 고대 자바 철학에서 출발하는 작업으로, 자바의 전통 철학, 신화, 문화를 오늘날의 기술과 지식과 연결하여 다양한 활동과 지혜를 공유한다. 고대 철학에서 외부 세계인 라히르(lahir)와 내부 세계인 바틴(batin)으로 인간을 구분하는데, 잉선은 바틴의 진정한 마음과 의식을 의미하며 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자 외부와 내부를 잇는 다리(bridge)이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반얀 트리(인생), 니 로로 키툴(물), 데위 스리(땅 & 비옥함), 성화된 에얼룸(권능), 칸틸레(욕망), 템플(연결) 총 여섯 개의 상징물을 구성하여 인간, 자연, 신을 연결하는 생태적 상징물을 현대의 기술과 공명하게 한다.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혼프는 1999년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주에서 시작된 콜렉티브로, 수하르토 정권 아래 자행되는 족벌주의와 부패 등 여러 사회적, 정치적 소용돌이에 대항하며 탄생했다. EFP(Education Focus Program 교육 중심 프로그램) 커리큘럼을 통해 협력적, 학제적, 기술적 행동들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며 여러 사회, 문화, 환경문제에 대응한다. 2011년 재단으로 전환하였으며,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예술·과학·기술 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Wunder der Prä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2021, Zeitraumexit, 만하임), 《커런트 페스티벌》(2021, ENBW-Terrain, 슈투트가르트), 《죽은자들의 아틀라스》(2018, 혼프 시민 연구소, 욕야카르타), 《인간의 모험》(2016,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마리나 베이 샌즈) 등 여러 단체전에서 선보여왔다.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INGSUN, 2022, 3D graphic

HONF
Gisela Maria, Irene Agrivina, Nona Yoanisara, Bio Andaru, Haryo Hutomo, Dhoni Yudhanto
In collaboration with
Yudianto Asmoro, Yoga Permana Putra, Gian Pingga, Hogi Tetra, Galih Kurniawan,
Aditya Tama, Louis Marcellino

HONF is an artist collective based in Indonesia. Their work INGSUN starts from the ancient Java philosophy of seeing the divine as a painter and human as a painting of the divine, connecting the traditional philosophy, mythology, and culture of Java to today’s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hare various activities and wisdom. In ancient philosophy, humans are distinguished by the external world called Lahir, and the internal world called Batin. Indeed, “Ingsun” means a truthful heart and consciousness in Batin, a space where humans can be connected with God and a brid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Banyan tree (life), Nyai Roro Kidul (water), Dewi Sri (land & fertility), Sanctified Heirloom (power), Cantile (lust), and Temple (connection) are composed to resonate with today’s technology.

HONF (The House Of Natural Fiber)
HONF is a collective started in 1999 in Yogyakarta, Indonesia. It was born out of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gainst the Suharto’s regime, its nepotism and corruption. Through the Education Focus Program (EFP) curriculum, HONF concentrates on applying collaborative, cross-disciplinary, and technological actions to everyday life and responds to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n 2011, In 2020, the Indonesian Centre for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un their communities, programs, and activities. Their works are shown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under der Prairie Internationales Live-Art Festivals (Mannheim, Germany), Current Festival (Stuttgart, Germany, 2021), Atlas of the Dead (Yogyakarta, Indonesia, 2016), and A Human Adventure (Yogyakarta, Indonesia, 2016). 

Artwork title

담자균류 정원의 균사체 번역기 Mycelium Translator of Basidiomycota Garden

Artist name 균사체 정원에 대한 소개와 전시장 지도 등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Introduction and map of the Basidiomycota Garden
Artwork Description:

여기 정원의 지도를 숙지하세요. 담자균류의 정원은 균사체로 이루어진 곡선의 길을 따라 10가지의 지실체(버섯)가 곳곳에 피어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지실체와 예술가의 작품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정원 길입니다. 길을 따라 천천히 거닐며 균사체 번역기에서 들리는 균사의 언어 귀 기울이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입니다.신비로운 균사들의 이야기와 디지털 작품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Please look carefully at this garden map. Ten mushrooms bloomed along the curved roots. This beautiful garden path allows you to meet the diverse fruiting body with artworks. You can also joyfully listen to the language of the mycelia through the mycelium translator. The cryptic stories of mycelium await.

Artwork title

균사체 번역기 Mycelium Translator

Artwork Description: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전기 신호로 번역하여 관객에게 전달하는 균사체 번역기이다
Mycelium Translator translating stories deviated from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via electronic signals

Artwork title

균사체 번역기 Mycelium Translator

Artwork Description: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전기 신호로 번역하여 관객에게 전달하는 균사체 번역기이다
Mycelium Translator translating stories deviated from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via electronic signals

Artwork title

균사체 번역기 Mycelium Translator

Artwork Description:

《땅속 그물 이야기》의 사전 워크숍인 「함께-세계만들기 Worlding-with」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전기 신호로 번역하여 관객에게 전달하는 균사체 번역기이다
Mycelium Translator translating stories deviated from preliminary workshop Worlding-with via electronic signals

Artwork title

통곰팡이균류의 정원 포탈 Potal to Chytridiomycota Garden

Artwork Description:

포탈을 통해 통곰팡이균류의 정원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포탈 구조물 가운데에 있는 내핵으로 이동하세요!
You can move to the Chytridiomycota Garden through the portal. Walk through the inner core of the portal in the middle!

Artwork title

담자균류의 정원 소개 Basidiomycota Garden Introduction

Artist name 나타샤 톤테이 Natasha Tontey, 돈선필 Sunpil Don, 모레신 알라야리 Morehshin Allahyari, 무니페리 Mooni Perry, 송민정 Song Min Jung, 업체eobchae, 이영주 Youngjoo Lee, 케이켄 Keiken, 혼프(하우스 오브 내추럴 파이버) HONF(The House of the Natural Fiber), 황선정 Sunjeong Hwang
Artwork Description:

담자균류는 이른바 버섯으로 알려진 생물을 포함하는 대표적 균사체로, 전체 균류의 약 30% 정도를 차지한다. 몸은 다수의 균사로 이루어져 있고, 눈에 보이는 지실체(버섯)를 형성한다. 균사는 가느다란 실과 같은 형태로 대부분의 시간을 낙엽 밑, 땅속에서 생장하여 균사체를 형성하고, 생장의 한계에 다다랐을 때 짧은 시간 동안 버섯을 피운다. 그리고 이 버섯을 통해 포자를 퍼트리고 계속해서 생식을 이어간다.
대부분의 시간을 보이지 않는 땅속에서 생장하는 담자균류의 생장적인 특징을 반영한 제 3 전시관 〈담자균류의 정원〉은 오프라인 전시 참여자의 디지털 작품을 선보이며, 균사체로 이루어진 길을 따라 곳곳에 피어난 다양한 버섯과 함께 배치된 디지털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Basidiomycota refers to the life forms known as mushrooms that make up 80% of all fungus species. Their body is made of hyphae and produces a fruiting body (mushroom), which is visible to the human eye. Hyphae, which have a filamentous structure, grow mostly underground, under dead leaves, and quickly produce mycelia and mushrooms when fully grown. Then, they spread spores via mushrooms to continue their reproduction.
Basidiomycota Garden reflects Basidiomycota's developmental nature of spending most of their life underground and unseen. It presents digital works by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gallery exhibition. The audience can find these works accompanied by various mushrooms growing along the path made of mycelium.

담자균류의 정원 소개 Basidiomycota Garden Introduction
Artwork title

여기로 들어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