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Art
City
Virtual Art Space

Catalog view is the alternative 2D representation of our 3D virtual art space. This page is friendly to assistive technologies and does not include decorative elements used in the 3D gallery.

Space Title

환경관 | Explore Hinterland

Within the World Titled HINTERLAND
Credited to PACK
Opening date January 13th, 2022
View 3D Gallery
Main image for 환경관 | Explore Hinterland

Statement:

해수면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조정된 23세기 환경을 모색하는 ‘환경관’입니다. 잔존 인류의 삶은 대부분 흔들리는 바지선과 하우스 보트 위에 놓이게 된 반면, 소수의 특권 계층은 얼마 남지 않은 육지 위 고도로 자동화된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하우스 보트를 점유한 해양인, 흔들리지 않는 땅 위에 거주한 내륙인, 해양과 내륙 사이를 유일하게 이동할 수 있었던 중간자. 그리고 각자 파편화된 위치에서 그들을 유일하게 연결해 주는 메타버스 또한 존재했습니다. 23세기 인류의 세 종족에 대한 소개부터, 끊임없이 불안하고 취약한 환경에 대해 깊고 풍부한 이해로 인도하는 세부 오브젝트들을 확인해 보세요.

☁★☄☉☙

This part of the exhibition examines how the environment and people adapted to the rapid rise in sea level in the 23rd century. While most of the surviving population had to live on the swaying barges and houseboats, the privileged few lived in highly automated cities atop the remaining ground. Outlanders occupied house boats; inlanders lived on stable ground; and midlanders were the sole beings who could traverse both land and sea. The metaverse served as the only terrain that connected all three species together, each isolated in their position. Check out each object on display to g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three classification of the 23rd century humans and the unstable, hostile environmental conditions.

3D Environment Description:

A smooth pink, purple structure. Perpendicular form with the top end splitting into five narrow cylinders.

Artworks in this space:

Artwork title

산투아리안 생체기계적 럭셔리 상품 및 서비스: 힌터랜드의 자동화 공장 및 배달 생태계 | SANTUARIAN BIOMECHANICAL LUXURY GOODS & SERVICES: Automated Factory & Delivery Ecosystem at Hinterland

Artist name Loreng "Thobie" Buntaran
Artwork Description:

해양에서 추출한 자원으로 내륙 사회의 휘황찬란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는 자동화 공장 생태계를 상상해 본다. 본 공장의 주 상품은 가장 깊은 심해에서만 찾을 수 있는 특별한 용액으로 만든 술이다. 커뮤니티 투표 과정을 통해 공급망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내륙인 고객의 니즈에 언제나 최적화한다. 신비로운 술의 생산과 유통의 과정은 초지능 생체 기계들의 노동으로 한 치의 오차 없이 이루어진다. 해양에 신기루처럼 나타나는 아름답고 매력적인 유선형 형체의 기계들은, 내륙인의 사치를 충족하기 위해 영속적인 노동을 수행하는 존재일 뿐이다.

☁★☄☉☙

The work imagines the ecosystem of an automated factory that fulfills the dazzling lifestyle of the inlands with resources extracted from the ocean. The main product of this factory is a type of alcohol made from a special solution that can only be found in the deepest sea. The supply chain is regularly updated through a community voting process and thus is able to always optimize to the needs of its customer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is magical alcohol is made possible by the flawless labor of hyper-intelligent biomechanical machines. The beautiful and attractive streamlined machines appear like a mirage in the ocean. Yet they are beings that only exist to perform everlasting labor to meet the luxury needs of the inlanders.  

작가에 대해 더 알아 보기 |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상품과 서비스 | Goods & Services

Artist name 도비 "로랭" 분타란 | Thobie "Loreng" Buntaran
Artwork Description:

내륙은 해저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본 기계는 motopanser와 다른 다양한 종의 교배에서 생성된 일종의 가구 종이다. 바다의 가장 깊은 곳에서만 생산되는 특별한 술은 마법의 디캔터에 보관된다. 미래에는 일과 이 순위의 욕구에 대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아마도 당신의 모든 관심과 욕구는 언제나 휘항찬란한 뷰티 라이프 스타일을 충족시키기 위한 사치품과 서비스가 될 것이다. 

"상품과 서비스"는 도비 분타란(활동명: 로랭)이 2021년 12월 20일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의 Matrijeron에서 생성/렌더링 한 것이다.

(본 전시관에 해당 작품의 풀 버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What can the seabed offer to the inlands? 
This is a type of furniture-species that has been transformed and cross-bred from motopansers with other various species. A special liquor that is only produced in the deepest areas of the ocean are stored in a magical decanter. In the future, you no longer need to care about primary and secondary needs. Perhaps all your concerns and needs will be luxury goods & services to fulfill your 24/7 chaotic beauty lifestyle.

“Goods & Services” was created/rendered by Thobie Buntaran a.k.a. Loreng on 20 December 2021, Matrijeron, Yogyakarta, Indonesia.

(The full artwork is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hall.)

전체 작품 보기 | View the full artwork
Artwork title

해저 꽃 | Seabed Flowers

Artist name 도비 "로랭" 분타란 | Thobie "Loreng" Buntaran
Artwork Description:

운송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꽃이 만발하는 광할한 해저. 각각의 꽃 송이들은 영원히 피어 오른다. 언뜻 보기에 꽃을 닮은 이 아름다운 개체는 사실상 배송과 생산의 영속적인 회로를 작동 시키는 부속품일 뿐이다.

"해저 꽃"은 도비 분타란(활동명: 로랭)이 2021년 12월 20일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의 Matrijeron에서 생성/렌더링 한 것이다.

(본 전시관에 해당 작품의 풀 버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Where does the delivery begin? 
A vast seabed full of blooming flowers, each of which bloom in perpetuity. Resembling flowers at first glance, these exquisite entities are in fact a trivial component in the endless delivery and production circuit.

"Seabed Flowers" was created/rendered by Thobie Buntaran a.k.a. Loreng on 20 December 2021, Matrijeron, Yogyakarta, Indonesia.

(The full artwork is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hall.)

전체 작품 보기 | View the full artwork
Artwork title

( 부스터 | booster )

Artist name 도비 "로랭" 분타란 | Thobie "Loreng" Buntaran
Artwork Description:

이 부스터는 "산투아리안 생체 기계적 럭셔리 상품 및 서비스: 힌터랜드의 자동화 공장 및 배달 생태계"에서 등장하는 생체 기계의 부품 중 하나입니다. 

(본 전시관에 해당 작품의 풀 버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This booster is a part of the biomechanical machines in "BIOMECHANICAL LUXURY GOODS & SERVICES: Automated Factory & Delivery Ecosystem at Hinterland."

(The full artwork is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hall.)

전체 작품 보기 | View the full artwork
Artwork title

해저 꽃 | Seabed Flowers

Artist name 도비 "로랭" 분타란 | Thobie "Loreng" Buntaran
Artwork Description:

운송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꽃이 만발하는 광할한 해저. 각각의 꽃 송이들은 영원히 피어 오른다. 언뜻 보기에 꽃을 닮은 이 아름다운 개체는 사실상 배송과 생산의 영속적인 회로를 작동 시키는 부속품일 뿐이다.

"해저 꽃"은 도비 분타란(활동명: 로랭)이 2021년 12월 20일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의 Matrijeron에서 생성/렌더링 한 것이다.

(본 전시관에 해당 작품의 풀 버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Where does the delivery begin? 
A vast seabed full of blooming flowers, each of which bloom in perpetuity. Resembling flowers at first glance, these exquisite entities are in fact a trivial component in the endless delivery and production circuit.

"Seabed Flowers" was created/rendered by Thobie Buntaran a.k.a. Loreng on 20 December 2021, Matrijeron, Yogyakarta, Indonesia.

(The full artwork is on display in this exhibition hall.)

전체 작품 보기 | View the full artwork
Artwork title

위성 인터넷 | Satellite Internet

Artwork Description:

23세기에 위성 인터넷은 가장 풍족한 자원 중 하나였습니다. 탈중앙화 블록체인과 메타버스가 해양에서도 원활하게 작동되는 이유입니다. 23세기보다 한참 전에 쏘아 올려진 인터넷 위성은 밤하늘을 격자 모양으로 촘촘히 밝혔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Satellite internet was the one of the most abundant resources available in the 23rd century. It was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seamless operation of the decentralized blockchain and metaverse out at sea. Launched long before the 23rd century, these satellites were placed in a tightly packed grid pattern, illuminating the vast night sky.

(Concept Art: Gim Jeongtae)

'위성 인터넷'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Satellite Internet'
A digital drawing of the night sky with rows of satellite internet.
Artwork title

해양 | The Outlands

Artwork Description:

해양은 주로 개조형 하우스 보트에 거주하는 무국적 난민들로 밀집되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The ocean was populated with stateless refugees living in converted houseboats.

(Concept Art: Gim Jeongtae)



'지도'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Map'
a digital drawing of a beautiful orange sunset out at sea.
Artwork title

플로팅 패트리어트 - 인공섬 대한호의 마지막 순혈주의 | Floating Patriot - The Fall of Artificial Island KORS Daehan

Artist name 황모과 | Mogua Hwang
Artwork Description:

*인용구*
"무임 승차차들!"
관리자들이 우리에게 계속 외쳤다.
"네가 진짜 한국인이라면 증명해 봐."
"뭘 어떻게?"
"위기에 희생할 각오가 돼 있냐고? 우리처럼."
관리자들이 발전소 내부로 들어가라는 듯 란초에게 손가락질했다. 란초가 헛웃음을 치며 말했다.
"자기는 죽어도 희생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다른 이들에게만 강요하는 게 한국 관리자들이 좋아하는 희생이더군. 여긴 너희들만의 배가 아니야. 우리 배이기도 해."
란초가 '우리 배'를 말하면서 팔을 뻗어 주변의 비한국인을 넓게 가리켰다.
란초, 그는 한국인이었고 비한국인들과 함께 목소리를 냈다. 나는 한국인이 아니었고 나를 한국인이라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 침묵하며 살았다. 국적이 의미 없는 곳에서 여전히 위세를 가진 국적이란 이름 위에 우리는 각자 부유하고 있었다. 강렬한 태양 볕에 모두가 그을린 얼굴을 한 선상에서 우리는 구분되었다. 날 때부터 그을린 피부인지 햇볕에 그을린 피부인지.

*이야기 줄거리*
해수면 상승 후, 침몰한 내륙국가들은 대형 선박을 이어 만든 플로팅 아일랜드를 출항시킨다. 나는 서울항에서 출발한 21대한호에 탑승하고 이 선박을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의 내륙은 완전히 수몰된다. 21대한호의 한국인 탑승자들은 이 선박이 대한민국의 국호를 잇는다고 선언하고 선내 모든 지배 수단을 장악한다. 비한국인 탑승자 90%는 제한된 정보 속에서 파편화되는데, 선박의 치명적인 위험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탑승자 모두가 한국인 VS 비한국인 구도 속에 내몰린다. 부모님의 국적이 한국이지만 남미에서 나고 자라 한국 국적이 없는 나, 그리고 부모님이 난민이었고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 국적과 정체성을 가진 란초, 두 사람이 발전소 위험 물질 누수 사태를 지휘하는 한국인 관리자들 앞에 나서고 21대한호의 관리자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감행하는데….

(컨셉 아트: 김정태)
☁★☄☉☙

“Free-loaders!”
The guards kept yelling at us. 
“If you’re really Korean, prove it.”
“What do you mean? How?”
“Would you be able to sacrifice yourself in the case of an emergency? Like we are.”
The guards kept waving their finger at Rancho, implying he should head into the power plant. Smirking, Rancho replied, 
“It appears that Korean guards favor sacrifice as something to be forced upon others but never something to be undertaken for themselves. You don’t own this ship. This ship is as much yours as it is ours.”
Rancho spread his arms widely as he said ‘as it is ours,’ referring to the non-Koreans around him.
Rancho—he was Korean, and he fought for the non-Koreans. I wasn’t Korean, and I lived quietly among those who believed I was Korean. Here where nationality is meaningless, each and every one of us were still trying to stay afloat under the dominance of nationality. On-board, we were all scorched by the strong rays of sun, and yet we were divided. Were they born with dark skin or were their skin darkened by the sun?

Summary of "Floating Patriot":
After the rise in sea-level, the sunken inland nation-states set sail on a floating island that was constructed by connecting large ships together. I departed from the Port of Seoul on 21st KORS Daehan, and with this, the landmass known as Korea was completely submerged under the sea. The Korean people on-board proclaimed this ship would continue the national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proceeded to take power. 90% of the non-Korean passengers were sidelined and could not unite due to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handling a fatal risk in the ship, the passengers of 21st KORS Daehan fell into a severe Korean vs non-Korean divide. I, with Korean parents but born and raised in South America, do not have a Korean nationality. Rancho was born in Korea between migrant parents and was of Korean nationality and identity. The two of them take a stance against the Korean managers in charge of managing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t the power plant. The managers of 21st KORS Daehan makes an extreme choice...

(Concept Art: Gim Jeongtae)

(Full-text is currently only available in Korean)

전문 읽으러 가기 | Read the Full-Text
Artwork title

장벽 | The Wall

Artwork Description:

장벽은 해양과의 연결 차단 목적뿐만 아니라, 해수면 상승 및 쓰나미에 대비하여 내륙인 주도로 건설되었습니다. 도시의 가장 높은 곳에서도 바다를 가릴 만큼 거대했으며 파도의 힘을 분산하고 내륙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끝도 없이 이어진 장벽은 내륙인의 출국과 해양인의 불법적인 출입을 완벽히 봉쇄하는 역할도 했습니다. 해양인의 대부분은 장벽 너머 내륙 삶의 형태를 전혀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Proceeded by inlanders, the wall served not only as a way to prevent outlanders from entering but also as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further rise in sea-level and destructive tsunamis. The wall was so large that even from the highest point of the city, one would not be able to see the ocean. It was designed so that it would disperse the crashing waves and effectively expel excess water or waste from the city. The endless wall perfectly prevented inlanders from leaving and outlanders from illegally entering the inlands. Most outlanders were not able to imagine life behind the wall.

(Concept Art: Gim Jeongtae)

'장벽'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The Wall'
장벽 | The Wall
Artwork title

인공 쓰레기섬 | Artifical Trash Island

Artwork Description:

인공 쓰레기섬은 해양인의 공유지 및 임시적 거점 구역이 되어준 주요 공간으로, 23세기 인류의 폐기물로 자연스레 생성된 바다 위 “땅”을 말합니다. 더 구체적인 활용처 예시로는, 물류 창고, DAO의 실물 거점, 보트 에너지 충전 서비스, 약간의 의료 및 교육 관련 서비스, 암시장 등이 있습니다. 건축 폐자재, 플라스틱 찌꺼기 등 단단한 물건들이 더욱 빠르고 쉽게 쓰레기섬이 되도록 유도하는 기술 또한 발달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Trash islands, naturally created from the accumulation of human waste, functioned as artificial land masses for outlanders who shared the space and utilized them as temporary bases for various purposes. Some uses  included storage spaces, place of convening for DAOs in the physical world, boat recharging stations, infrastructure for simple medical and educational services, and even black markets. It seems that outlanders may have also developed a specific type of technology that propels hard objects such as construction waste and plastic waste to gather together more efficiently to form such islands faster.

'인공 쓰레기 섬'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Artificial Trash Island'
A digital drawing. A floating mass made of trash.
Artwork title

메타버스 지층 | The Metaverse Stratum

Artwork Description:

힌터랜드에서 가장 눈부시게 아름다웠다고 알려진 것은 메타버스의 데이터 지층입니다. 메타버스의 지형지물과 건축은 사용자의 DAO 활동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입력값 삼아 생성적 알고리즘으로 디자인됩니다. DAO 활동량이 줄거나 DAO가 파산되어 시간이 지나면 결국 데이터가 지층화됩니다. 로비에 전시된 데이터-화석에서 알 수 있듯, 데이터의 지층화 과정에서 주요 데이터는 화석이 되어 남기도 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The metaverse was widely regarded as the most dazzling sight in Hinterland. The features and architectural forms that make up the metaverse were determined by a generative algorithm that used DAO user activities as input data. Should the activities of the DAO lessen or the DAO go bankrupt, the data would eventually begin to stratify. As you saw from the data-fossil on display in the Main Lobby, in the process of stratification, key data may become fossilized.

(Concept Art: Gim Jeongtae)

'메타버스 지층'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Metaverse Stratum'
메타버스 지층 | The Metaverse Stratum
Artwork title

하우스 보트 | Houseboat

Artwork Description:

하우스 보트는 급격한 해수면 상승에 인류가 택한 생존술의 핵심입니다. 

전형적인 해양인의 하우스 보트 구조를 보면 먼저 보트의 지붕과 갑판은 주로 태양 전지판으로 덮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판 위로는 돛대처럼 다수의 풍력발전기가 세워져 있으며, 보트의 현측은 21세기 필리핀 전통보트 방카와 유사한 금속 골조에 파력발전기를 추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트의 선미부에는 자체 부력 기능을 갖춘 두 개의 대칭 프레임(혹은 ’다리들’)으로 구성된 파력 변환기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혹독한 해양 조건에 따라 모든 장비는 다루기 쉽고 저가에 취득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보트 양 옆 난간에는 다른 보트와 체인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보트 결합 장치가 있습니다. 체인으로 결합된 보트들의 연결망은 흔히 자원과 자본을 함께 나누는 가족 혹은 소규모 공동체 단위로 이해해 볼 수 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ouseboats were one of the essential survival strategies people depended on in the face of rapid rise in sea-level.

In a typical outlander houseboat, the roof and deck of the boat were covered with solar panels. Above the deck, multiple wind power generators were installed like masts, and the hull of the boat was lined with a some type of metal frame that acted as a wave generator--similar to that of a banca, a traditional Filipino boat in the 21st century. The bow also featured a wave transducer in the shape of two symmetrical frames (or 'legs') which also had buoyancy capabilities.

Given the tumultuous climate at sea, the boats were created by putting together materials that were easy to use and replaceable for a cheap price. Furthermore, there were chains on either side of the boat which would be used to connect multiple flocks of ships together. The chained ships c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chosen family or small-scale community, meaning that those within the chain would share resources and capital with one another. 

(Concept Art: Gim Jeongtae)

'하우스 보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ouseboat'
A digital drawing of a boat.
Artwork title

환경관 | 'Explore Hinterland'

Artwork Description:

[번역: 해수면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조정된 23세기 환경을 모색하는 ‘환경관’입니다. 잔존 인류의 삶은 대부분 흔들리는 바지선과 하우스 보트 위에 놓이게 된 반면, 소수의 특권 계층은 얼마 남지 않은 육지 위 고도로 자동화된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하우스 보트를 점유한 해양인, 흔들리지 않는 땅 위에 거주한 내륙인, 해양과 내륙 사이를 유일하게 이동할 수 있었던 중간자. 그리고 각자 파편화된 위치에서 그들을 유일하게 연결해 주는 메타버스 또한 존재했습니다. 23세기 인류의 세 종족에 대한 소개부터, 끊임없이 불안하고 취약한 환경에 대해 깊고 풍부한 이해로 인도하는 세부 오브젝트들을 확인해 보세요.] 

☁★☄☉☙

[Translation: This is ‘Explore Hinterland.’ This part of the exhibition examines how humans and the environment of the 23rd century adapted to the rapid rise in sea-level. While most of the surviving population had to live on the swaying barges and houseboats, the privileged few lived in highly automated cities atop the remaining landmass. Eventually, huma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utlanders living on house boats, inlanders occupying stable ground, and midlanders, the sole beings who could traverse across land and sea. The metaverse was the only terrain connecting all three species together, each isolated in their position. Check out each object on display to g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three human classifications and the unstable, hostile environmental conditions.]

Artwork title

종족: 해양인 | Classification: Out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굴된 데이터-화석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해양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해양인은 간단히 말해, 해양에서 삶을 영위한 무국적 난민이며 위험천만한 해양생활과 메타버스 노동을 위해 신체 대부분을 개조한 트랜스 휴먼입니다. 해양인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거나 별도의 번역기로 소통한 것으로 보이며, 삶의 많은 부분(예. 식자재, 보트 수리, 치안, 놀이, 노동 등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산을 메타버스 속 여러 DAO에 분산하여 활동하였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Outlanders, simply put, were stateless migrants who led life at sea and were trans-humans, remodeling their bodies to adapt to the turbulent sea life and to work in the metaverse. It is believed that outlanders spoke multiple languages or used a translator devic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ulfill many essential aspects of basic survival (ex. food, boat repair, security, entertainment, labor, and etc.), outlanders distributed their finances across the metaverse, participating in various DAOs. Thus, the excavated data-fossil included the most information on out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Human with fish-like tail
Artwork title

종족: 해양인 | Classification: Out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굴된 데이터-화석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해양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해양인은 간단히 말해, 해양에서 삶을 영위한 무국적 난민이며 위험천만한 해양생활과 메타버스 노동을 위해 신체 대부분을 개조한 트랜스 휴먼입니다. 해양인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거나 별도의 번역기로 소통한 것으로 보이며, 삶의 많은 부분(예. 식자재, 보트 수리, 치안, 놀이, 노동 등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산을 메타버스 속 여러 DAO에 분산하여 활동하였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Outlanders, simply put, were stateless migrants who led life at sea and were trans-humans, remodeling their bodies to adapt to the turbulent sea life and to work in the metaverse. It is believed that outlanders spoke multiple languages or used a translator devic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ulfill many essential aspects of basic survival (ex. food, boat repair, security, entertainment, labor, and etc.), outlanders distributed their finances across the metaverse, participating in various DAOs. Thus, the excavated data-fossil included the most information on out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A human with two extra robot arms.
Artwork title

종족: 해양인 | Classification: Out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굴된 데이터-화석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해양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해양인은 간단히 말해, 해양에서 삶을 영위한 무국적 난민이며 위험천만한 해양생활과 메타버스 노동을 위해 신체 대부분을 개조한 트랜스 휴먼입니다. 해양인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거나 별도의 번역기로 소통한 것으로 보이며, 삶의 많은 부분(예. 식자재, 보트 수리, 치안, 놀이, 노동 등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산을 메타버스 속 여러 DAO에 분산하여 활동하였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Outlanders, simply put, were stateless migrants who led life at sea and were trans-humans, remodeling their bodies to adapt to the turbulent sea life and to work in the metaverse. It is believed that outlanders spoke multiple languages or used a translator devic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ulfill many essential aspects of basic survival (ex. food, boat repair, security, entertainment, labor, and etc.), outlanders distributed their finances across the metaverse, participating in various DAOs. Thus, the excavated data-fossil included the most information on out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굴된 데이터-화석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해양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해양인은 간단히 말해, 해양에서 삶을 영위한 무국적 난민이며 위험천만한 해양생활과 메타버스 노동을 위해 신체 대부분을 개조한 트랜스 휴먼입니다. 해양인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거나 별도의 번역기로 소통한 것으로 보이며, 삶의 많은 부분(예. 식자재, 보트 수리, 치안, 놀이, 노동 등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산을 메타버스 속 여러 DAO에 분산하여 활동하였습니다.

(게재된 링크를 통해 '해양인'에 대해 더 알아 보세요)

컨셉 아트: 김정태
Artwork title

종족: 해양인 | Classification: Out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굴된 데이터-화석에서 가장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해양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해양인은 간단히 말해, 해양에서 삶을 영위한 무국적 난민이며 위험천만한 해양생활과 메타버스 노동을 위해 신체 대부분을 개조한 트랜스 휴먼입니다. 해양인은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거나 별도의 번역기로 소통한 것으로 보이며, 삶의 많은 부분(예. 식자재, 보트 수리, 치안, 놀이, 노동 등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산을 메타버스 속 여러 DAO에 분산하여 활동하였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Outlanders, simply put, were stateless migrants who led life at sea and were trans-humans, remodeling their bodies to adapt to the turbulent sea life and to work in the metaverse. It is believed that outlanders spoke multiple languages or used a translator devic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ulfill many essential aspects of basic survival (ex. food, boat repair, security, entertainment, labor, and etc.), outlanders distributed their finances across the metaverse, participating in various DAOs. Thus, the excavated data-fossil included the most information on out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종족: 해양인 | Classification: Outlander
Artwork title

종족: 중간자 | Classification: Mid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내륙에서 태어난 최하층 계급의 중간자가 있습니다. 이들은 대체로 몸을 반-인간 혹은 반-기계라 불릴 만큼 개조하여 바다에는 내륙의 폐기물을 버리고, 바다에서 난 자원을 도시로 옮기는 역할에 특화된 신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도시 환경에 접근할 수는 있었지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나 공공인프라의 질은 처참하였고 자동화된 도시에 살 수 있는 자본이 없었기에 도시의 외곽 지역에 거주했습니다. 중간자에 대한 정보 또한 극히 제한적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Midlanders refer to those of the lowest class in the inlands. Their bodies were transformed so much to the point that half their body was robotic, or a machine. Such transformation allowed them to perform the laborious task of taking out waste from the inlands into the sea and bringing in resources from the sea into the inlands. Midlanders were able to access the core city of the inlands but did not have the means to attain the provided medical services nor use the public infrastructure, and thus, they lived along the margins of the automated city center. Information on midlanders are also meager.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A digital drawing of a bionic person. They are holding out their two arms and looking at a bright blue floating object. The bottom half of the person is completely robotic.
Artwork title

종족: 중간자 | Classification: Mid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내륙에서 태어난 최하층 계급의 중간자가 있습니다. 이들은 대체로 몸을 반-인간 혹은 반-기계라 불릴 만큼 개조하여 바다에는 내륙의 폐기물을 버리고, 바다에서 난 자원을 도시로 옮기는 역할에 특화된 신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도시 환경에 접근할 수는 있었지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나 공공인프라의 질은 처참하였고 자동화된 도시에 살 수 있는 자본이 없었기에 도시의 외곽 지역에 거주했습니다. 중간자에 대한 정보 또한 극히 제한적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Midlanders refer to those of the lowest class in the inlands. Their bodies were transformed so much to the point that half their body was robotic, or a machine. Such transformation allowed them to perform the laborious task of taking out waste from the inlands into the sea and bringing in resources from the sea into the inlands. Midlanders were able to access the core city of the inlands but did not have the means to attain the provided medical services nor use the public infrastructure, and thus, they lived along the margins of the automated city center. Information on midlanders are also meager.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A digital drawing of a human. The preson has grey skin and has robotic arms.
Artwork title

종족: 내륙인 | Classification: Inlander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를 크게 환경, 경제, 신체 조건에 따른 3 개의 종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구에 남은 10%의 내륙에서 질 좋은 삶을 영위하며 일종의 기업-국가에 소속된 내륙인이 있습니다. 거의 나체나 다름없는 투명한 의복을 즐겨 입는 문화가 있었으며, 이들은 인체를 굳이 개조할 필요가 없는 퓨어 휴먼에 가까웠습니다. 내륙인의 구체적인 라이프 스타일이나 내륙의 스마트 도시 환경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그들의 DAO 활동 (특히 데이트 DAO 데이터), 내륙의 공장을 원격으로 가동하는 해양인들의 기록, 그리고 내륙에서 물류 노동에 종사하는 중간자들의 기록을 통해 내륙인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Humans of the 23rd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ent on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conditions. 

There were people, around 10% of the total population, who led a good life on land with the infrastructure of a type of corporate-state--the inlanders. Inlanders had a peculiar culture where they would either walk around in complete nude or enjoy wearing translucent clothings. They could be considered pure humans as they didn't have the need to transform parts of their bodies into machines. There is not much data on the specific lifestyle of inlanders or the environment of the automated central city. Despite this, we were able to attain some information on inlanders from their activities on various DAOs (in particular, data retrieved from Romance DAO), from records left by outlanders who virtually operated their automated factories, and from records left by midlanders who perform much of the tasks that keep the inlands afloat. 

(Concept Art: Gim Jeongtae)

'종족'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Human Classification'
A digital drawing of two people. They are each wearing a rainbow-colored translucent robe. They each have a third eye in the forehead. The person on the right has short hair and is crossing their arms. The person on the left is placing their left arm on the other person's right shoulder.
Artwork title

지도 | Map

Artwork Description:

내륙과 해양으로 나뉜 지구와 가상의 메타버스가 혼재된 지리를 완벽히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여기 디오라마를 통해 편의상 ‘힌터랜드’라 불리는 공간의 윤곽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재 발굴된 데이터를 토대로, 당시 전체 인구수는 육천만 명 내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내륙과 해양의 면적 비율이 1:9인 험난한 세계로 특정 소수가 점유한 내륙은 거대한 장벽으로 둘러져 있었으며 자동화된 도시에 기업-국가가 구축되었습니다. 해양은 주로 개조형 하우스 보트에 거주하는 무국적 난민들로 밀집되었습니다. 내륙인과 해양인이 모두가 공유하는 유일한 지역은 메타버스뿐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fully recreate the complex geography of Earth in the 23rd century, this map diorama will help visualize the fusion of the fragmented physical world and the overlay virtual metaverse--the world we call “hinterland” for convenience.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data, the total population at the time is estimated to be around 60 million. The scale ratio between land and sea was approximately 1:9, creating a rugged world. Inhabited by the privileged few, the inlands were blocked off with a large wall and corporate-states were built in automated cities. The ocean was densely populated with stateless refugees living in converted houseboats. It appears that the only area shared by both the inlanders and the outlanders was the metaverse.

(Concept Art: Gim Jeongtae)

'지도'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Map'
Artwork title

환경관 사운드트랙 | Soundtrack for 'Explore Hinterland'

Artist name 살라만다 | Salamanda
Artwork Description:

23세기의 파편화된 환경을 상상한 사운드트랙곡 

☁★☄☉☙ 

An auditory interpretation of the fragmented geography of the 23rd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