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Art
City
Virtual Art Space

Catalog view is the alternative 2D representation of our 3D virtual art space. This page is friendly to assistive technologies and does not include decorative elements used in the 3D gallery.

Space Title

삶과 노동관 | Work and Leisure

Within the World Titled HINTERLAND
Credited to PACK
Opening date January 13th, 2022
View 3D Gallery
Main image for 삶과 노동관 | Work and Leisure

Statement:

지구 하늘을 촘촘히 메운 위성이 제공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23세기 사람들은 오픈 메타버스를 그 어느 때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었습니다. 물질 세계와 거의 1:1로 매핑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 속 그들의 다채로운 노동과 소셜 라이프를 알아보는 '삶과 노동관'입니다. 해양인, 내륙인, 중간자 각자 처한 계급적 환경에 따라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목적 및 방식에 차이가 있었음을 주목했습니다. 본 전시관에서 23세기 인류의 경제적 활동을 뒷받침하는 화폐, 메타버스 노동 관련 장비, 그리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의 핵심을 이루는 각종 DAO를 확인해 보세요.

☁★☄☉☙☁★☄☉☙☁★☄☉☙

Satellites densely populating the Earth’s sky provided fast Internet service and seamless access to the open metaverse. This is Exhibitoin Hall 2, 'Work and Leisure,' where you can examine the lively labor and social life in the metaverse terrain. There was so much activity on the metaverse that it was almost at a 1:1 ratio with the physical world. You will be able to examine how the classifi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the utilization method and purpose of the metaverse. In this space, you can check out the different types of cryptocurrencies that served as the backbone of the economy, various tools and equipment utilized for work in the metaverse, and diverse DAOs that informe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23rd century.

3D Environment Description:

A metallic blue, bulbous form.

Artworks in this space:

Artwork title

암호화폐: VTBC | Cryptocurrency: VTBC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수없이 많은 종류의 가상 화폐를 사용했습니다. 보시고 계신 화폐는 가장 흔히 사용된 DkRW, USDZ, VTBC, 그리고 FETH입니다. VTBC는 내륙인들이 사용한 BTC의 하드포크로 탄생했으며 해양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자산이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n the 23rd century, there were countless types of cryptocurrencies. The currencies on display are those that were most commonly used: DkRW, USDZ, VTBC, and FETH. Created by a hardforking of the BTC currency, VTBC was favored by the out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화폐'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Cryptocurrencies'
Artwork title

교육 DAO 로고 | Logo for Education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교육 DAO는 자의로 가입할 수 없었으며, 교육 DAO의 기존 회원으로부터 가입 추천을 받아야 했습니다. 가입 추천이 제안으로 올라오면, 투표를 통해 가입 여부를 정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가입 예정자는 자기소개 및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커리큘럼이 있었지만, 실용성을 전제로 한 교과가 가장 인기가 많았습니다 (예. 해양 생물과 구조구호 등 해양 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쌓을 수 있는 해양 에듀 DAO).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Membership to the Education DAO (or, simply Edu Dao) was strictly operated by recommendation and could not be joined voluntarily. The recommendation had to come from an existing member of the Education DAO. Recommendations for new members would be presented as a proposal and other members would cast votes on whether to approve the candidate. In the evaluation process, prospective members introduced themselves and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to convince the voters. 

The Edu DAO offered various curricula, but the practical life skills curriculum were most popular. Take for example, the marine life skills sector of the Edu DAO, in which subscribers would attain critical knowledge on marine life and skill sets for rescue and aid).

(Concept Art: Gim Jeongtae)

'교육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Education DAO'
Artwork title

농축산 DAO 로고 | Logo for Agriculture & Livestock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농축산 DAO는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AO였습니다. 주로 해양인들이 가입했었고, 인공 쓰레기섬 같은 공유지에 실물 거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른 DAO와 비교할 때 분쟁이 평화롭게 조정되는 편이었습니다. 내륙의 도시에 유통되는 마약류 환각제의 원재료는 대부분 농축산 DAO가 만들어낸다는 소문도 있었으며, 이는 내륙의 스마트 도시 외의 공간에서는 딱히 관련 통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e livestock and agriculture DAO came together to sustain a safe supply of food. Its members were predominantly outlanders, and they had physical bases in common areas at sea like the artificial trash islands. There were rumors that most of the raw materials for narcotic hallucinogens distributed in the inlands were produced by this DAO due to the fact that there were no surveillance in spaces outside the smart city of the inlands.

(Concept Art: Gim Jeongtae)

'농축산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Agriculture & Livestock DAO'
Artwork title

메카닉 DAO 로고 | Logo for Mechanic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메카닉 DAO는 해양인들에겐 핵심 인프라로, 고장 난 발전기와 배를 수선하는 일을 도모했습니다. 기계를 수선, 정비, 조립하는 인력 외에도 다양한 과학자, 엔지니어가 오갔습니다. 메카닉 DAO에 몰리는 자산은 생각보다 큰데, 불법적인 기계류 제조나 다양한 연구에 이만한 조직이 달리 없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e Mechanic DAO was provided crucial services to outlanders, such as repairing generators and house boats. Other than mechanics who specialized in the repair, maintenance, and assembly of machines, there were also various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DAO. The amount of asset concentrated in the Mechanic DAO is larger than expected, and it seems as though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were no other organizations like this that dealt with illegal machinery manufacturing and various mechanics-related research.

(Concept Art: Gim Jeongtae)

'메카닉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Mechanic DAO'
Artwork title

물류 DAO 로고 | Logo for Storage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주로 해양인의 수요로 운영되는 DAO이며, 공유지에 실물 거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협소한 하우스 보트의 용적률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되었습니다. 운영 방식이 가장 직관적인 곳이기도 하며 많은 자산을 DAO 금고에 예치하는 이가 큰 공간을 점유했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is DAO was predominantly operated by the demand of outlanders and had a base in the physical realm. It wa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ng for the limited floor area of a houseboat.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is DAO was the most intuitive, and it can be deduced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was commensurate to the size of the asset deposit in the Storage DAO vault.

(Concept Art: Gim Jeongtae)

'물류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Storage DAO'
Artwork title

엔터테인먼트 DAO 로고 | Logo for Entertainment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메타버스 내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위한 DAO로, 줄여서 엔터 DAO로 불렸습니다. 내륙 외곽에 ‘합숙소’라 불리는 실물 거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 위치와 운영은 DAO의 기밀 컨트랙트로 보관되어 발굴된 자료가 현재 없습니다. 주로 오디션 형식의 경쟁적 사업에 관련한 제안, 투표가 판을 쳤습니다. 엔터 DAO에서 활동한 아이돌의 개인사에 대한 부분은 알려진 바가 없다. 발굴된 데이터만 두고 보자면, 신기할 정도로 가족이나 인간 관계가 불투명합니다. 몇몇은 엔터 DAO가 고아, 실종자만을 모아 실물 거점을 운영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is was a DAO for the (idol) entertainment industry in the metaverse, also referred to as the Enter DAO. It is known that there was a physical base called a 'dormitory' on the outskirts of the inlands, but the specific location and operation were kept under a confidential DAO contract and there are currently no data available to validate the existence and specific operations of such dormitory. Proposals and votes related to the competition business, mainly in the form of auditions, were popular. There is nothing known about the personal history of the idols who were active in the Enter DAO. Based on the unearthed data alone, information on family and human relationships are surprisingly vague. This has led to some to believe that  the Enter DAO worked solely with orphans and missing people.

(Concept Art: Gim Jeongtae)

'엔터테인먼트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Entertainment DAO'
Artwork title

의료 DAO 로고 | Logo for Medical Care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의료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DAO입니다. 진단과 치료를 포함한 의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 했지만, 원격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3세기 인류의 삶이 불안했던 만큼, 성공적인 자산 증식 그래프가 인상적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e Medical Care DAO was organized to provide medical services. Much of the medical and counseling services it provided, including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often conducted remotely. Given that human life was constantly at risk in the 23rd century, its asset growth portfolio was equally impressive.

(Concept Art: Gim Jeongtae)

'의료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Medical Care DAO'
Artwork title

재판 DAO 로고 | Logo for Court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기업-국가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일부 도시지역 밖에서, 일종의 사법부 역할을 하는 DAO이다.

다른 DAO와 마찬가지로 자산 증식 목적도 뚜렷했기 때문에 재판 DAO가 ‘공정한’ 공동체를 위해 작동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네트워크상의 영향력이나 동결한 자산의 크기가 재판 운용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을 것이라 추정합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is DAO was acted as a kind of judiciary for the people who lived in territories other than the urban center run by the corporate-states.

As with other DAOs, the purpose of asset growth was evident, meaning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Court DAO operated for a "fair" outcome. It is presumed that the influence on the network or the size of the frozen assets may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ts operation.

(Concept Art: Gim Jeongtae)

'재판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Court DAO'
Artwork title

Realities(bonded): eyes(opened)

Artist name 오가영 | Kai Oh
Artwork Description:

물질세계에서 눈만 감으면 메타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23세기 인류의 산발적인 이동 경험을 5가지의 방식으로 왜곡시킨 입면체로 표현한다. 해양인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는 환상적인 도피처이기도 한 동시에 생존을 위한 노동 현장이므로, 물질세계와 메타버스를 이동하는 경험은 안정감, 괴리감, 기시감, 혼란, 향수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아낼 것이다. 입면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리 보이는 현상으로 해양인의 눈동자에 맺힌 힌터랜드의 이원적인 풍경과 그 풍경을 체화하는 경험을 구현해 본다.  

☁★☄☉☙

The work examines the unique experience of accessing the metaverse in the 23rd century. People at the time could access the metaverse simply by closing their eyes. This “transportation”--from one realm to another--is interpreted in five different ways. From the outlanders' perspective, the metaverse would have appeared as a fantastic refuge while also being a joyless workspace needed for survival. Accessing a space with such duality would have induced a convoluted sense of stability, detachment, confusion, deja vu, and nostalgia all at once for outlanders. Such emotions have been constructed into abstract forms that suggest a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One side presents wha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Hinterland reflected on outlanders' eyes, and the other side imag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that image as their reality.

작가 프로필 보기 | View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Realities(bonded): time(segmented)

Artist name 오가영 | Kai Oh
Artwork Description:

물질세계에서 눈만 감으면 메타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23세기 인류의 산발적인 이동 경험을 5가지의 방식으로 왜곡시킨 입면체로 표현한다. 해양인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는 환상적인 도피처이기도 한 동시에 생존을 위한 노동 현장이므로, 물질세계와 메타버스를 이동하는 경험은 안정감, 괴리감, 기시감, 혼란, 향수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아낼 것이다. 입면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리 보이는 현상으로 해양인의 눈동자에 맺힌 힌터랜드의 이원적인 풍경과 그 풍경을 체화하는 경험을 구현해 본다.  

☁★☄☉☙

The work examines the unique experience of accessing the metaverse in the 23rd century. People at the time could access the metaverse simply by closing their eyes. This “transportation”--from one realm to another--is interpreted in five different ways. From the outlanders' perspective, the metaverse would have appeared as a fantastic refuge while also being a joyless workspace needed for survival. Accessing a space with such duality would have induced a convoluted sense of stability, detachment, confusion, deja vu, and nostalgia all at once for outlanders. Such emotions have been constructed into abstract forms that suggest a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One side presents wha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Hinterland reflected on outlanders' eyes, and the other side imag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that image as their reality.

작가 프로필 보기 | View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Realities(bonded): forest at elsewhere

Artist name 오가영 | Kai Oh
Artwork Description:

물질세계에서 눈만 감으면 메타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23세기 인류의 산발적인 이동 경험을 5가지의 방식으로 왜곡시킨 입면체로 표현한다. 해양인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는 환상적인 도피처이기도 한 동시에 생존을 위한 노동 현장이므로, 물질세계와 메타버스를 이동하는 경험은 안정감, 괴리감, 기시감, 혼란, 향수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아낼 것이다. 입면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리 보이는 현상으로 해양인의 눈동자에 맺힌 힌터랜드의 이원적인 풍경과 그 풍경을 체화하는 경험을 구현해 본다.  

☁★☄☉☙

The work examines the unique experience of accessing the metaverse in the 23rd century. People at the time could access the metaverse simply by closing their eyes. This “transportation”--from one realm to another--is interpreted in five different ways. From the outlanders' perspective, the metaverse would have appeared as a fantastic refuge while also being a joyless workspace needed for survival. Accessing a space with such duality would have induced a convoluted sense of stability, detachment, confusion, deja vu, and nostalgia all at once for outlanders. Such emotions have been constructed into abstract forms that suggest a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One side presents wha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Hinterland reflected on outlanders' eyes, and the other side imag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that image as their reality.

작가 프로필 보기 | View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Realities(bonded): fixed surface

Artist name 오가영 | Kai Oh
Artwork Description:

물질세계에서 눈만 감으면 메타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23세기 인류의 산발적인 이동 경험을 5가지의 방식으로 왜곡시킨 입면체로 표현한다. 해양인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는 환상적인 도피처이기도 한 동시에 생존을 위한 노동 현장이므로, 물질세계와 메타버스를 이동하는 경험은 안정감, 괴리감, 기시감, 혼란, 향수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아낼 것이다. 입면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리 보이는 현상으로 해양인의 눈동자에 맺힌 힌터랜드의 이원적인 풍경과 그 풍경을 체화하는 경험을 구현해 본다.  

☁★☄☉☙

The work examines the unique experience of accessing the metaverse in the 23rd century. People at the time could access the metaverse simply by closing their eyes. This “transportation”--from one realm to another--is interpreted in five different ways. From the outlanders' perspective, the metaverse would have appeared as a fantastic refuge while also being a joyless workspace needed for survival. Accessing a space with such duality would have induced a convoluted sense of stability, detachment, confusion, deja vu, and nostalgia all at once for outlanders. Such emotions have been constructed into abstract forms that suggest a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One side presents wha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Hinterland reflected on outlanders' eyes, and the other side imag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that image as their reality.

작가 프로필 보기 | View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Realities(bonded): fernweh

Artist name 오가영 | Kai Oh
Artwork Description:

물질세계에서 눈만 감으면 메타버스에 접속할 수 있는 23세기 인류의 산발적인 이동 경험을 5가지의 방식으로 왜곡시킨 입면체로 표현한다. 해양인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는 환상적인 도피처이기도 한 동시에 생존을 위한 노동 현장이므로, 물질세계와 메타버스를 이동하는 경험은 안정감, 괴리감, 기시감, 혼란, 향수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아낼 것이다. 입면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달리 보이는 현상으로 해양인의 눈동자에 맺힌 힌터랜드의 이원적인 풍경과 그 풍경을 체화하는 경험을 구현해 본다.  

☁★☄☉☙

The work examines the unique experience of accessing the metaverse in the 23rd century. People at the time could access the metaverse simply by closing their eyes. This “transportation”--from one realm to another--is interpreted in five different ways. From the outlanders' perspective, the metaverse would have appeared as a fantastic refuge while also being a joyless workspace needed for survival. Accessing a space with such duality would have induced a convoluted sense of stability, detachment, confusion, deja vu, and nostalgia all at once for outlanders. Such emotions have been constructed into abstract forms that suggest a different im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One side presents what would have been the image of Hinterland reflected on outlanders' eyes, and the other side imagines the process of embodying that image as their reality.

작가 프로필 보기 | View Artist Profile
Artwork title

온 세상의 정물화 | Still Life

Artist name 김창규 | Kim Changgyu
Artwork Description:

*인용구*
“시라는 새하얀 산호의 설원을 바라보면서 제 기계몸도 비명을 지르지 않고 조용히, 단숨에 멈춰주기를 바랐다.”

*이야기 줄거리*
중간자인 미도와 시라는 죽음을 앞둔 육체를 이끌고 유물을 수집하다가 지표세(地表世)의 인간을 만난다. 그는 두 사람에게 희망이 될 수도 있는 세 번째 세상, 즉 인터버스의 존재를 알려준다.

컨셉 아트: 김정태 

☁★☄☉☙

“Standing before the vast snowfield of bleached corals, Sira wished their machine-body would stop, in an instant, in peace, without pain.”

Lugging around their bodies that are on the verge of death, midlanders Mido and Sira are collecting relics when they encounter a human from the Lithocene (a geological epoch of human habitation on the lithosphere). He bestows hope, telling them of the existence of a third world, the Interverse.  

(Full-text is currently only available in Korean)

Concept Art: Gim Jeongtae

전문 읽으러 가기 | Read the Full-Text
Artwork title

엔터테인먼트 콘솔 | Entertainment Console

Artwork Description:

엔터테인먼트 콘솔은 홀로그램 프로젝션과 사운드 재생이 주 기능이며 스케일이 커진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처럼 디자인되었습니다. 두족류의 다리처럼 생긴 부분은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 움직이기도 합니다. 본 기기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고립감을 달래기 위한 방편으로 만들어져 주로 해양인들의 보트 생활에 매우 유용했으며 내륙인들은 여행할 때 사용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The entertainment console was primarily used as a hologram projector and a speaker. It was designed to look like a larger scale bacteriophage, and the “legs” of the cephalopods would move in rhythm with the music. The console was devised as a way to console the feeling of isolation that comes from living in a restricted space; thus, it was most compatible with the lifestyle of outlanders, but it is believed that inlanders also used it when traveling.

(Concept Art: Gim Jeongtae)

'엔터테인먼트 콘솔'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Entertainment Console'
Artwork title

종교 DAO 로고 | Logo for Religion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종교 DAO는 23세기의 통제 불가능한 신비, 믿음, 신앙을 공유하고 해소할 수 있는 주요 거점 역할을 취했습니다. 구체적인 작동 원리가 신비로 남은 메타버스의 미스터리는 종교 DAO의 다양한 캠페인을 낳는 씨앗의 역할을 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보기에 특이한 관습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소금이 제의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지나치게 많은데, 초기에 해양인 가입자가 많았기 때문일 것으로 보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Religion DAO served as a major point of convergence for sharing and fulfilling the mysteries, beliefs, and faith of the 23rd century. The mystery of the metaverse, the working principle of which is yet to be solved, became the seed that spawned various campaigns of the Religion DAO. There were many unusual customs at the time. For example, it seems that salt took up an excessively large role in rituals, probably due to the large number of outlander subscribers in its early days.

(Concept Art: Gim Jeongtae)

'종교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Religion DAO'
Artwork title

데이트 DAO 로고 | Logo for Romance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의 생존은 메타버스 속 DAO 활동에 대거 의존했기 때문에, 셀 수 없을 만큼의 DAO가 존재했습니다. 보고 계신 이미지는 핵심적인 DAO 9개의 로고 중 하나입니다. 

데이트 DAO는 장벽에 의해 나뉘어진 해양과 내륙의 인류를 이어낸 놀라운 조직입니다. 주 기능은 메타버스를 통해 익명의 데이트를 매개하는 일이지만, 소수의 사람들은 개인정보를 밝히고 직접적 만남을 추구 했습니다. 세 종족, 특히 내륙인의 신체적 구성이나 복식을 파악할 수 있는 데엔 데이트 DAO가 남긴 자료 덕이 컸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As the survival of humans of the 23rd century depended heavily on DAO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here were countless DAOs. You are currently looking at the logos of nine of the key DAOs at the time. 

The Romance DAO is an amazing organization that were able to connect inlanders and outlanders who were completely separated by the Wall. The main function of the Romance DAO was to mediate anonymous dating on the metaverse, but a small number of subscribers would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and meet in the physical world. It was thanks to the data left by this DAO that we were able conjecture the physical appearance and clothing of the three types of humans; it was one of the primary sources of information on the in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데이트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Romance DAO'
Artwork title

암호화폐: USDZ | Cryptocurrency: USDZ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수없이 많은 종류의 가상 화폐를 사용했습니다. 보시고 계신 화폐는 가장 흔히 사용된 DkRW, USDZ, VTBC, 그리고 FETH입니다. USDZ가 USD라는 과거 화폐의 스테이블코인에서 시작한 것인지, 마찬가지로 과거 존재했던 SDZ화폐의 통합 버전인지 알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n the 23rd century, there were countless types of cryptocurrencies. The currencies on display are those that were most commonly used: DkRW, USDZ, VTBC, and FETH. There is not enough data to know for certain if USDZ started as a stablecoin of the bygone currency of the United States, USD, or if it is a integrated version of the SDZ which also existed in the past.

(Concept Art: Gim Jeongtae)

'화폐'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Cryptocurrencies'
Artwork title

엔터테인먼트 DAO의 아이돌 | Idols of the Entertainment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아이돌의 경우, 심해 발광생물과 같이 신비로운 색깔과 몽환적인 분위기를 지녔습니다. 환경에 따라 형체의 일부를 유기적으로 변형할 수 있기에 언제나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또한, 21세기 아이돌-팬 문화와 DAO 체계가 만나 23세기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는 팬과 프로듀서, 응원과 후원 개념이 더욱 가까워졌습니다. 그들의 생김새와 음악은 엔터테인먼트 DAO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고 메타버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 최상의 콘텐츠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이돌들은 해양인, 내륙인, 중간자 구별 없이 두루두루 인기가 많았습니다. 

현재 듣고 계신 사운드는 23세기 인류가 특히 선호한 초월적인(transcendental) 경험을 유도하는 전자음악 샘플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dols of the Entertainment DAO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human form varied greatly in the 23rd century. In the case of idols, they had mystical colors and a dreamy appearance—almost like that of bioluminescent deep-sea  creatures. They had the ability to organically mold particular areas of their bod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showcasing an entirely new experience every time. 

Additionally, the 23rd century entertainment business could be understood as unison of 21st century idol fandom culture and DAO infrastructure. In other words, the division between the role of a fan and a producer, and the concept of support and sponsorship became further blurred. The appearance and music of idols were decided upon through the voting system of the entertainment DAO, and the analysis of metaverse big data promised the utmost content for its consumers. Idols were popular throughout Hinterland, regardless of whether one was an outlander, inlander, or midlander.

The sound you are currently listening to is a sample of electronic music that elicits a transcendental experience, particularly favored by users in the 23rd century.

(Concept Art: Gim Jeongtae)

'엔터테인먼트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Entertainment DAO'
An imaginary organism that combines the forms of human, plant, and jellyfish.
Artwork title

메타버스 노동기기: 조이스틱 | Joystick for Virtual Work in the Metaverse

Artwork Description:

메타버스 노동기기는 내륙인들이 운영하는 거대 스마트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 해양인들이 사용한 장비입니다. 메타버스 노동이란, 흔히 메타버스에 접속하여 스마트 공장의 다양한 구식 로봇의 몸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일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시된 장비는 고대의 게임 조이스틱 형태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본 장비를 양 손목에 고정하여 손가락을 움직이는 반복적인 행위로 공장 기계를 조작하 수 있으며, 장시간 노동에 특화된 인체 공학적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흔들리는 배 안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읽고, 불필요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모션 센서가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명령을 내륙의 장벽 너머 스마트 공장으로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각 공장과 노동 업무에 따른 전문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 있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There were various devices or tools that outlanders used to operate large-scale smart factories owned by inlanders. Examples of virtual work in the metaverse consisted of accessing the metaverse and "connecting" one's body to various parts of outdated robots within the smart factory and controlling them to perform tasks remotely.

The device on display appears to have evolved from an bygone form of a gaming joystick. The user would fix this joystick on either wrists and operate factory machines by repeatedly moving the fingers. The device was ergonomically designed for long work hours. Also, since work was performed inside a shaky boat, a motion sensor was used alongside the controller that would read the user's movements and counterbalance any unnecessary shakiness. This allowed for more precise commands to be sent across to the smart factories in the inlands.

In addition to the joystick, there were many other  software wearable robots that were specialized for each factory and labor task.

(Concept Art: Gim Jeongtae)

'메타버스 노동기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Devices for Work in The Metaverse'
Artwork title

23세기 아이돌 믹스 샘플 | 23rd century Idol Mix Sample

Artist name 살라만다 | Salamanda
Artwork Description:

현재 듣고 계신 23세기에 가장 인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돌 믹스 샘플 

☁★☄☉☙

You are currently listening to a sample of one of the most popular idol mixes in the 23rd century.

Artwork title

삶과 노동관 | 'Work and Leisure'

Artwork Description:

[번역: 지구 하늘을 촘촘히 메운 위성이 제공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23세기 사람들은 오픈 메타버스를 그 어느 때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었습니다. 물질 세계와 거의 1:1로 매핑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 속 그들의 다채로운 노동과 소셜 라이프를 알아보는 ‘삶과 노동관’입니다. 해양인, 내륙인, 중간자 각자 처한 계급적 환경에 따라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목적 및 방식에 차이가 있었음을 주목했습니다. 본 전시관에서 23세기 인류의 경제적 활동을 뒷받침하는 화폐, 메타버스 노동 관련 장비, 그리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의 핵심을 이루는 각종 DAO를 확인해 보세요.]

☁★☄☉☙

[Translation: Satellites densely populating the Earth’s sky provided Internet service and allowed people to access the open metaverse more conveniently and faster than ever before. This is ‘Work and Leisure,’ where you can examine the lively labor and social life in the metaverse terrain that could be mapped almost 1:1 with the physical world. We focused on the th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method and purpose of the metaverse depending on the user’s class. In this space, you can check out the different types of cryptocurrencies that served as the backbone to the economy, equipments related to metaverse labor and DAOs that formed the core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Artwork title

암호화폐: FETH | Cryptocurrency: FETH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수없이 많은 종류의 가상 화폐를 사용했습니다. 보시고 계신 화폐는 가장 흔히 사용된 DkRW, USDZ, VTBC, 그리고 FETH입니다. 

FETH는 거의 모든 DAO의 금고의 기초자산으로 사용된 화폐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n the 23rd century, there were countless types of cryptocurrencies. The currencies on display are those that were most commonly used: DkRW, USDZ, VTBC, and FETH.

FETH was utilized as the underlying asset for almost all DAO vaults. 

(Concept Art: Gim Jeongtae)

'화폐'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Cryptocurrencies'
Artwork title

암호화폐: DkRW | Cryptocurrency: DkRW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수없이 많은 종류의 가상 화폐를 사용했습니다. 보시고 계신 화폐는 가장 흔히 사용된 DkRW, USDZ, VTBC, 그리고 FETH입니다. DkRW는 기업-국가의 디지털 화폐로 내륙인들이 주로 사용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n the 23rd century, there were countless types of cryptocurrencies. The currencies on display are those that were most commonly used: DkRW, USDZ, VTBC, and FETH. DkRW are both digital currencies of corporate-nation-states and primarily circulated among the inlanders.

(Concept Art: Gim Jeongtae)

'화폐'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Cryptocurrencies'
Artwork title

메타버스 노동기기: 컨트롤러 | Controller for Virtual Work in the Metaverse

Artwork Description:

메타버스 노동기기는 내륙인들이 운영하는 거대 스마트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 해양인들이 사용한 장비입니다. 메타버스 노동이란, 흔히 메타버스에 접속하여 스마트 공장의 다양한 구식 로봇의 몸과 연결되어 원격으로 일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시된 장비는 고대의 게임 컨트롤러 형태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본 장비를 양 손목에 고정하여 손가락을 움직이는 반복적인 행위로 공장 기계를 조작하 수 있으며, 장시간 노동에 특화된 인체 공학적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흔들리는 배 안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읽고, 불필요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모션 센서가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명령을 내륙의 장벽 너머 스마트 공장으로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각 공장과 노동 업무에 따른 전문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 있었습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

There were various devices or tools that outlanders used to operate large-scale smart factories owned by inlanders. Examples of virtual work in the metaverse consisted of accessing the metaverse and "connecting" one's body to various parts of outdated robots within the smart factory and controlling them to perform tasks remotely.

The device on display appears to have evolved from an bygone form of a gaming joystick. The user would fix this joystick on either wrists and operate factory machines by repeatedly moving the fingers. The device was ergonomically designed for long work hours. Also, since work was performed inside a shaky boat, a motion sensor was used alongside the controller that would read the user's movements and counterbalance any unnecessary shakiness. This allowed for more precise commands to be sent across to the smart factories in the inlands.

In addition to the joystick, there were many other  software wearable robots that were specialized for each factory and labor task.

(Concept Art: Gim Jeongtae)

'메타버스 노동기기'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Devices for Work in The Metaverse'
Artwork title

삶과 노동관 사운드트랙 | Soundtrack for 'Work and Leisure'

Artist name 살라만다 | Salamanda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불안정한 삶과 노동을 해석한 사운드트랙 

☁★☄☉☙ 

An auditory interpretation of work and leisure in the 23rd century life. 

Artwork title

엔터테인먼트 DAO의 아이돌 | Idols of the Entertainment DAO

Artwork Description:

23세기 인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아이돌의 경우, 심해 발광생물과 같이 신비로운 색깔과 몽환적인 분위기를 지녔습니다. 환경에 따라 형체의 일부를 유기적으로 변형할 수 있기에 언제나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또한, 21세기 아이돌-팬 문화와 DAO 체계가 만나 23세기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는 팬과 프로듀서, 응원과 후원 개념이 더욱 가까워졌습니다. 그들의 생김새와 음악은 엔터테인먼트 DAO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고 메타버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 최상의 콘텐츠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이돌들은 해양인, 내륙인, 중간자 구별 없이 두루두루 인기가 많았습니다. 

현재 듣고 계신 사운드는 23세기 인류가 특히 선호한 초월적인(transcendental) 경험을 유도하는 전자음악 샘플입니다. 

(컨셉 아트: 김정태)

☁★☄☉☙

Idols of the Entertainment DAO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human form varied greatly in the 23rd century. In the case of idols, they had mystical colors and a dreamy appearance—almost like that of bioluminescent deep-sea  creatures. They had the ability to organically mold particular areas of their bod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showcasing an entirely new experience every time. 

Additionally, the 23rd century entertainment business could be understood as unison of 21st century idol fandom culture and DAO infrastructure. In other words, the division between the role of a fan and a producer, and the concept of support and sponsorship became further blurred. The appearance and music of idols were decided upon through the voting system of the entertainment DAO, and the analysis of metaverse big data promised the utmost content for its consumers. Idols were popular throughout Hinterland, regardless of whether one was an outlander, inlander, or midlander.

The sound you are currently listening to is a sample of electronic music that elicits a transcendental experience, particularly favored by users in the 23rd century.

(Concept Art: Gim Jeongtae)

'엔터테인먼트 DAO'에 대해 더 알아보기 | Find out more: 'Entertainment DAO'
A digital drawing of a creature that looks like a combination of jellyfish and human. The main body is a gradient of black and white, and its leg is wrapped in a frilly material that looks like the aurora lights.